고용·노동
산재 보상 및 노무사 수임료 관련 문의드립니다.
아버지가 근무 중 사고로 3년가까이 치료중에 있습니다. 노무사님이 이제 슬슬 합의를 볼 시기가 온것 같다고 합의 준비중에 있는데요.
첫째로 연금보상을 준비하려고 하는데 장해등급 7급도 받기 어렵다고 내가 만들어주는거다 라고 자꾸 강조하시는데 6급, 7급의 선정기준이 뭔가요?
둘째로 연금보상으로 받게 될 시 2년여간의 연금수령액을 일시불로 수임료로 지불하라고 하는데 적정한 수준인가요? (계약초반에 연금수령 시 수임료는 정하지 않음)
셋째로 산재보험처리가 종결된 후 근재보험도 처리할 예정인데 이것 또한 어느정도 수임료가 적절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장해급여 산정을 위한 장애등급 판정은 관할 근로복지공단에서 하게 됩니다. 구체적인 기준은 공단의 지침 내지 공단과 의료기관의 판단에 따르게 됩니다.
적정한 수임료의 수준은 법령으로 정해진 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