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과 지역화폐의 접목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나요
각 지자체에서 블록체인과 지역화폐를 접목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 같은데 현재 블록체인에 접목된 지역화폐의 사례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화폐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부산시
부산은 블록체인 특구 지정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지역화폐, 관광, 수산물 이력관리서비스 실증, 지역 금융 인프라 연계를 통해 지역 활성화 하게 됩니다
현재 정부는 암호화폐에 대한 승인은 거부했지만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개념인 "디지털 바우처" 에 대해서는 조건부승인을 했다는 소식이 있었습니다.
울산시 및 김포시
울산광역시는 KT의 지역 화폐 플랫폼인 ‘착한페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울산의 지역화폐인 ‘울산사랑상품권(울산페이)를 통해 기존 지류형 지역 화폐의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모바일 앱 기반의 QR 결제 시스템과 카드 결제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이용이 간편하고, 결제금액을 은행 계좌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
김포시도 KT 지역화폐 플랫폼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관련뉴스 : KT, 블록체인 기반의 울산 지역화폐 운영한다
노원구
노원(NO-WON)은 ㈜글로스퍼(Glosfer)가 만든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입니다.
노원(NW)화폐는 돈이 없이도 구매를 할 수 있는 화폐라는 의미로 NO-WON의 약자이며, 노원구 지역화폐의 기본 통화단위로 단위는 NW입니다.
개인 또는 단체가 노원구 내에서 자원봉사, 기부 등의 사회적 가치를 실현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노원구 내에서만 화폐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블록체인과 지역화폐의 접목은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나요 라고 문의하셨는데요.
부산시의 경우도 부산규제자유특구에서 부산은행이 발행한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만을 사용한다고 발표를 하였습니다.
요즘 많은 지자체에서 지역화폐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지역화폐는 2가지 개념으로 분류가 되는거 같습니다.
첫번째는 봉사활동에 대한 포인트개념,근로장려금,산후조리비 같은 복지수당으로 이용되는 지자체가 있습니다.
복지수당으로 이용되는 지역화폐는 블록체인기술을 도입을 하면 투명하게 복지수당이 이용되고 있는지 관리를 할수가 있어서 블록체인도입이 필요한거 같습니다.
두번째 지역화폐는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발행되는 지역화폐 입니다. 이경우는 사용자가 지역화폐 어플을 설치하여 계좌를 충전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이건 블록체인이랑 무슨 관련이 있는지 애매모호합니다.
경기도에서는 4월부터 31개 시군에서 경기 지역화폐를 만들어서 사용한다고 합니다.하지만 현재 지역화폐는 아직까지 블록체인과 연관성은 없어 보입니다.어떻게 블록체인이 접목이 되는건지 설명이 나와있는 지역 화폐가 없습니다.그냥 블록체인 지역화폐라고 갖다 붙인거 같습니다.지역화폐는 봉사활동에 대한 포인트 개념이라든지 또는 청년기본소득이나 산후조리비 같은 복지수당으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발행하는 시흥시의 시루의경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모바일 지역화폐를 발행한다고 하는데 이것 또한 블록체인기반이라고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시루의경우 지역상품권 Chak' 앱에서 구매시 상시 5% 할인을 해준다고 합니다.월간 할인한도는 40만원입니다.
현재의 지역화폐는 기존에 있었던 신용카드사의 기프트 카드를 대체하는 각 지자체의 기프트 카드이거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페이 개념으로 보입니다.
현재 발행되는 지역화폐들이 블록체인 기반이라고 발표는 하고 있는데 사실상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지 정확히 명시 되지 않아서 정말 블록체인 기반인지 아닌지 확인하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
그러기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어떻게 연동을 하는지 살펴봐야 할거 같습니다.
많은 지역화폐들이 나왔지만 현재 지역화폐의 경우 성공유무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운 단계입니다. 시간이 지나봐야 성공여부를 알수 있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Danny입니다.
대부분의 지역화폐는 중앙화 방식이고, 노원구에서 발행된 NW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프라이빗 블록체인 방식이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블록체인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는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 기사를 참고해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https://www.coindeskkorea.com/4551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