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Luna520
Luna520
22.10.18

주린이 입니다. 주식관련 하여 속된말로 “물타기를 한다”라고 하는데.. 매도관련 하여 궁금합니다.

예룰 들어 10000원에 주식을 10주 매수 하여 50%손실을 보고있는 가운데 ... 2500원에 물타기를 하여 25%손실로 낮추 었는데요 이 주식이 더올라서 20%손실로 낮아졌습니다.

이때 매도하면 이전에 샀던 주식들 중에 어떤 시점에 샀던 주식이 매도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는 처음에 매입한 주식이든

    후에 매입한 주식이든 평균가격이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주식이 매도가 되었든 상관이 없습니다.

    평균단가만 생각하시면 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같은 종목의 주식을 매수하면 각각 구분되는것이 아니라 매입단가가 낮추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즉 물타기라는것은 분할 매수를 의미합니다. 평균매입단가를 낮추는것이죠ㅕ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계좌에 보유한 주식은 매입 가격에 따라 주당 매입가격이 달라집니다.

    그러나 추가 매입한 주식과 기존 주식을 매도 시 선입선출 또는 후입선출 방식으로 매도한 주식이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계좌에 보유한 주식은 무차별이고 매도 시 같은 주당 가격을 가진 같은 주식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이 NFT처럼 그 자체로 구분이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느 시점의 주식이라던가, 제1 주식, 제2 주식 이렇게 구분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내 보유 수량이 줄어들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주식의 물타기라는 용어는 말 그대로 이미 섞였기 때문에 어떤 주식을 먼저 팔거나 할 수가 없습니다.

    • 손실 금액을 전보다 줄이는 형식이고 만약 같은 계좌로 매매를 하지 않고 신규 계좌에서 해당 주식을 거래했다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물타기를 하여 빠져나오는 것은 위험을 줄이거나 단기간에 반등을 기대하고 하는 전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매도되는 주식의 순위에는 매입했던 주식의 순서와는 연관이 없습니다.

    매도를 진행하시게 되더라도 현재 매입한 주식의 가격은 평균단가가 처음 매입한 주식가격과 차후에 매입한 주식가격이 평균되어서 손익처리가 되게 됩니다.

    꼭 주식이 반등해서 손실이 회복되시길 바랄게요!

  • 안녕하세요. 김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가격 자체가 변해서 모든 주식의 가격이 동일합니다. 단지 질문자님이 주식을 산 시점의 가격이 다를 뿐입니다.

    따라서 언제 산 주식이 매도되는지는 의미 없으며,

    매도 시 현재의 가격으로 매도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