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국내주식 기업지배구조가 뭔가 문제일까요?

국내주식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우리나라 주식이 오르지 못하는 원인 중 가장 큰 이유가 기업지배구조 문제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국내주식 기업지배구조가 뭔가 문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 기업지배구조 문제가 자주 언급되는 이유는, 기업의 의사결정과 성장에 있어서 주주들의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소수의 지배주주가 기업을 사적 이익 추구의 도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오너 일가가 지배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며, 전문 경영인 보다는 오너의 의사결정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 가치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소수 주주들은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기회가 제한되고, 자신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배주주가 계열사를 통해 사익을 추구하는 행위가 발생하여, 전체 주주들의 이익을 희생시킵니다.

    또한 정보 공개가 제한적이며, 단기 성과를 추구하는 방식은 한국 주식시장 전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의 기업 지배구조 문제중 하나는 대주주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에요. 대주주가 의사결정을 주도하다 보니, 소액 주주의 이익이 소외될 수 있어요. 또, 경영 투명성이 낮고, 전문 경영인보다 대주주의 가족이나 친인척이 임원으로 많은 경우도 문제가 되죠.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분할 상장 등을 통하여 지주사가

    소수의 지분으로 해당 기업들에 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경우가 많기에 이러한 지배구조가 문제라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기업지배구조 관련해서 다양한 문제가 있지만, 소위 총수라 불리는 사람들이 아주 적은 지주회사 지분으로 사실상 해당 기업의 모든 계열사의 의사결정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는 주로 소유와 지배 간의 괴리에서 비롯됩니다. 대기업 집단에서는 총수가 적은 지분으로도 계열사 간 출자와 경영진에 대한 인적 통제를 통해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이로 인해 소액주주의 권리가 침해되고, 기업 내외부의 감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한 순환출자 구조로 인해 경영권 고착화와 이해상충 행위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는 기업 가치 저평가의 원인이 되며, 국내 주식시장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지주회사 체제에서도 지배주주 지분율 강화와 소액주주 의결권 희석, 자사주를 통한 지배권 강화 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영의 투명성 제고, 소수주주 권리 보호, 사외이사의 독립성 강화, 자본시장을 통한 외부 감시 기능 활성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의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입니다. 주로 재벌 중심의 소유구조로 총수 일가가 적은 지분으로 기업을 지배, 소액주주 이익보다 총수 일가 이익 우선하는 점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순환출자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계열사 간 복잡한 출자 관계로 투명성이 떨어지고 기업 가치 평가가 어려워집니다. 그리고 이사회의 독립성 부족도 문제입니다. 이사회가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견제하지 못하며, 사외이사의 독립성이 부족합니다. 또한 주주 권리 보호 미흡한점도 문제입니다. 소액주주의 권리가 충분히 보호받지 못하고, 배당정책 등에서 주주 친화적이지 않은 결정 발생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하며, 외국인 투자자의 신뢰를 낮추어 한국 주식시장의 저평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 이사회의 독립성 강화, 소액주주 권리 보호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국내주식 기업지배구조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많은 기업들은 대주주가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로 인해 소액주주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의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거나 재무 정보를 불투명하게 관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투자자들이 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판단하기 어려워집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사회 충실 의무, 소액 주주의 권리 보호가 상당히 미흡한 부분 등 기업의 자금이 오너의 야심을 채우기 위해 사용된다는 문제가 있고, 독립적인 사외이사가 부재하다는 거버넌스 문제도 있습니다.

  • 주식 시장을 억누르는 지배구조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일단 이번에 고려 아연 분쟁처럼 지배 구조가 문제가 되었을 때 일반 주주가 아니라 오로지 대주주만을 위한 결정을 하더라도 용인되는 분위기입니다. 이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습니다 또한 대주주 승계 문제 등으로 인해서 의도적으로 주가 부양을 막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자회사 쪼개기 상장 등으로 시가총액은 올라가지만 주가지수는 오르지 않는 문제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