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기사와 전기 기능사의 난이도 차이는 어느정도 되나요?
전기기사를 봐야 할지 아니면 전기 기능사 시험을 봐야 할지 고민인데요
전기 기사와 전기 기능사의 문제의 난이도가 어느정도나 되느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기사와 전기 기능사 난이도 차이는 많이 납니다.
전기기능사는 모든 사람이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으로 전기 초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전기기사는 기사시험 중 난이도가 높은 자격증 입니다.
하지만 전기기사 자격 조건이 된다면 전기기사 취득을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사는 전기 분야의 전문성의 깊이를 요하며, 복잡한 이론과 계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반대로 전기 기능사는 실무 위주의 기본 지식과 기술을 평가하므로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목표로 하는 직무나 커리어 경로를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실무 경험을 쌓고자 한다면 기능사부터 시작해서 차근차근 올라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기능사는 6개월에서 1년, 기사는 1년에서 2년은 준비해야 합격할 수 있는 차이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전기 기사가 전기 기능사보다 상당히 어려운 수준 입니다.
아무래도 기능사 자격증은 응시 자격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 않습니다.
전기기사 응시 자격이 되신다면 전기기사 취득에 도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문수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기능사는 용어가 생소하면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비전공자도 1개월정도 준비하면 필기패스는 가능하구요. 실기는 학원에서 준비하셔야 한번에 패스하실 수 있을겁니다.
전기기사는 회차에 따라 난이도가 차이가 있긴하지만 보통 필기 실기 합쳐서 빠르면 6개월 ~ 1년 꾸준히 인강 보시면서 준비하셔서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요즘은 합격률이 20%내외더군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난이도는 전기기사가 조금 더 어려운데요 그렇다고 해서 굉장히 어렵지는 않습니다 전기기사가 어렵다는 얘기는 공부 범위가 굉장히 양이 많습니다 외워야 하고 서술까지 해야 되는 부분들이 많기 때문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