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자격증

전기기사·기능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전기기능사와 전기산업기사,전기기사의 난이도 차이가 얼마나 될까요?

전기기능사와 전기산업기사,전기기사의 난이도 차이가 얼마나 될까요?

문제의 특성이나 과목같은 것이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대길 전기기능사
    이대길 전기기능사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기능사같은 경우는 실기입니다. 통전되게 하여 전구, 전열을 되게만 하면 되니 몇번 해보면 되고, 필기도 쉬운편입니다. 하지만 산업기사 기사는 난이도가 높고 공부양이 방대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두현 전기기능사입니다.

    기능사는 상대적으로 좀 쉬운 편이고 실기가 정말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를 보는데

    산업기사와 기사는 실시도 서술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고

    필기난이도 또한 기능사보다 어렵고 산업기사와 기사의 난이도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단원의 차이는 있는데 잘 나오지 않는 문제들이라 공부하는데 크게 차이가 안 나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기능사는 기본적인 전기 지식과 실기를 바탕으로 한 입문 단계로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 전기산업기사는 이론적 깊이와 실무 숙련도가 필요하며, 기능사보다 높은 난이도가 있습니다. 전기기사는 더욱 포괄적이고 복잡한 이론과 실제 사례 분석 능력이 요구되어 가장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각 자격증마다 준비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다르므로, 자신의 목표와 준비 상태를 고려해 도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난이도의 순서로만 보면 기능사 < 산업기사 < 기사 순으로 높아진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능사의 경우 과목수도 적고 공부해야할 양이 비교적 적은 편이라,

    접근하기 쉬운 자격증 중에 하나 입니다.

    산업기사와 기사는 난이도가 있긴 하나,

    향 후 취업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만한 가치가 있는 자격증 입니다.

    꾸준히만 공부 하신다면 충분히 취득 가능한 자격증이니 한번 도전해 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자격증은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기술사 구분되고 있어요.

    난위도는 전기기능사가 제일 낮고 상위자격증으로 올라갈수록 난위도가 높아요.

    *전기기능사는 모든사람이 볼 수 있는 시험으로 전기기사(산업기사)보다 난위도가 낮아요.

    *전기기능사 시험은 필기시험(CBT)과 실기시험(작업형)을 봐야해요.

    -필기(CBT) : 전기이론, 전기기기, 전기설비, 총 60문제, 60점이상 합격

    -실기(작업형) : 배선작업 및 배관작업, 총 4시간30분 시험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의 난위도 차이는 거의 없어요.

    전기기사가 조금 심도있는 문제가 출제된다고 하지만 실제로 시험은 비슷해요.

    산업기사 시험이 더 어렵게 출제되는 경향이 많거든요.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 시험은 필기(CBT,2시간30분)와 실기(필답형,2시간30분)

    -전기산업기사 필기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전기설비기술기준, 총 100문제 60점이상

    -전기기사 필기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술기준, 총 100문제 60점이상

    -실기시험 : 설비설계 및 관리(필답형)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순으로 난이도가 어렵습니다.

    전기기능사는 필기와 실습형 실기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기산업기사와 전기기사는 필기와 필답형 실기 시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