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유연한고라니222
유연한고라니222

걸을때마다 몸이 따끔거립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32
기저질환
고혈압
복용중인 약
혈압약

몸살인가싶어 약도먹고했는데 감기몸살기는 괜찮아졌는데 걸으면 몸이 따끔거리고 아픕니다. 물집이나 그런건없는데 알러지인가요? 주변에선 대상포진이 아니냐고 그러네요

코로나인가싶어 검사도 해봤는데 음성이었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걸으면 몸이 따끔거리는 증상이라는 것이 신체 어느부위에 증상을 호소하시는 것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대상포진에 이환되면 상기증상이 나타나다 통증 및 수포등을 포함한 병변이 나타날 수 있으나 현재로서는 정보가 매우 부족하여 알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몸이 전반적으로 따끔거리는 경우에는 대상포진보다는 말초신경의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까운 신경과에서 관련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대상포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대상포진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된 원인은 고령, 면역체계 약화, 이식수술, 에이즈,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가 증식하여 신경을 따라 피부로 다시 나오면서

      대상포진이 발생합니다.

      일단 대상포진이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대상포진의 주요 증상은 통증입니다. 통증은 몸의 한쪽 부분에 국한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프거나 따끔거리는 느낌의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1-3일 이어진 후 붉은 발진이 나타나며 열이나 두통이 발생합니다.

      수포는 2-3주 정도 지속되며 수포가 사라진 후 농포, 가피가 형성되며 점차 사라집니다.

      통증은 병변이 사라진 후에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것이 포진 후 신경통입니다.   

      치료법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조기(첫번째 발진이 나타난 후 72시간 전)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항바이러스제는 초기 감염의 확산을 막고 감염기간 및 중증도의 감소, 다른 부위로의 전파 방지,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의 진행 방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대상포진으로 인한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복용합니다.

      진통제의 종류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선택합니다. (항경련제, 삼환계, 항우울제 등이 함께 사용됩니다. )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몸의 어느부위가 따끔거리는 통증이 나타나시는지요?

      질문 내용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릴수가 없습니다. 진단에는 신체진찰, 각종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어디가 따끔거리시나요? 대상포진은 흉추 요추 경추, 얼굴 부근에 띠를 두른듯이 한방향으로 나타납니다.

      심한 감기를 앓거나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젊은 사람이라도 대상포진이 나올 수 있으며

      대상포진이 나올때 빨리 잡지 않으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이어집니다.

      물집이 올라오기 2-3일전 증상이 나타나므로 증상을 잘지켜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참 어렵네요. 따끔거리고 아프다면 피부 질환을 먼저 의심해 봐야 합니다. 다만 피부에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가능성은 떨어져 보이구요. 일단 진통제를 드시면서 증상이 좋아지는지 기다려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걸을 때마다 몸이 따끔거리는 증상으로는 대상포진을 포함하여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할 수 없습니다. 우선은 진통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며 경과 관찰을 해보시길 권고드리며 2-3일이 더 경과하더라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실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