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훈훈한오리너구리198
훈훈한오리너구리198

가을 겨울철엔 밤이 짧은 이유가?

가을 겨울때는 저녁 6시만 넘어도 깜깜해지고 봄이나 여름철에는 저녁8시 정도에도 환한데, 가을 겨울때는 빨리 어두워지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빛나라하리
    빛나라하리

    안녕하세요. 빛나라하리입니다.

    겨울에는 해가 늦게 뜨고 빨리 지는데 겨울은 12월 부터 그 다음 해 2월 사이 랍니다.

    겨울철에 해가 늦게 지고 빨라지는 이유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항상 자전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약23도 기울어져 있는데 이 자전축이 공전하기 때문이죠

    지구의 자천축은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의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겨울에는 북반구가 바깥쪽으로 기울게 된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가 짧은 겨울에는 해가 늦게 뜨면서 빨리 지게 되는 것인데요.

    이곳에서는 북반구가 바깥쪽으로 기울여져 해가 보이는 시간이 짧은 것입니다.

    쉽게 이야기를 해보자면 겨울에는 지구가 태양 쪽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다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관악산 다람쥐🐿 입니다.

    지구본을 떠올려봅니다

    지구의 축이 약간(23.4°) 기울어져 있는건 생각나죠 그래서 지구가 자전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거리 각도가 계속 변하는데 그 변화에 맞취 밤과낮, 사계절로 불리는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지구 북반구가 태양빛을 가장길게 받고있는날이 우리나라에서 하지라 불리는날이고 가장 적게 받는날이 동지라 불리는 날입니다 그 둘을 기준으로 지구의 공전에 따라 점점 해뜨는 시간이 길어졌다 짧아졌다 반복하게 됩니다 그래서 여름 하지가 지나면 해떠있는 시간이 점점 짧아져 동지에 가장 짧은날,바꿔말하면 밤이 가장 긴 날이 됩니다 지금처럼 겨울로 가는 길목의 가을은 여름보다 상대적으로 낮이 짧게 느껴지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