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2.12.28

겨울이 되면 낮에 짧아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겨울이 되면 이상하게 낮이 엄청 짧아집니다

저녁 5시만 되면 해가 떨어지기 시작하고

해가 뜨는 시간도 늦어지는데

겨울에는 왜 다른 계절보다 낮이 짧아지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바로 지구의 자전운동과 공정운동입니다. 겨울에 해가 떠있는 시간이 짧아진 이유는 지구가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북반구 기준으로 겨울에는 지구가 태양에서 먼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태양열을 받는 반경이 작게 됩니다. 하여 낮은 짧고 밤은 길게 됩니다. 지구의 자전운동은 태양의 이동을 통한 낮과 밤 변화를 가져온다고합니다. 또한 태양의 남중고도는 낮 길이 변화를 가져온다고해요.


  •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는데, 원 운동을 하지 않고 타원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태양과 지구 사이가 멀게 됩니다.

    이때 지구가 23도 정도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의해 낮과 밤의 길이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아래의 그림처럼 지구가 기울어져 있어 겨울에는 해가 짧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따라서 여름엔 낮이 밤보다 길고, 봄과 가을엔 비슷하며, 겨울엔 낮이 밤보다 짧지요. 이 현상은 겨울에는 우리가 사는 북반구가 태양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여름에는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