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약에는 어떤 성분이 있으며 치아에 좋은 기능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양치질을 반드시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양치질을 한 번할 때에 3분동안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또한 치약의 어떠한 성분이 치아에 좋은 작용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치질을 하지 않는다면 치아가 썩을 수밖에 없나요?
칫솔질은 구강내의 세균과 음식물을 제거하기 위해 하는 것이므로 3분정도 했을 때 그 효능이 제일 좋습니다.
치약은 불소함량이 높은 것을 쓰시면 됩니다.
양치질을 하지 않으면 음식물 찌꺼기가 특정 부위에서 고이고 쌓여서 치석이 됩니다.
치석이 쌓이면 잇몸이 붓고 피가 나고, 심해지면 잇몸뼈가 녹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치아가 흔들리기 시작하고 하나씩 빠집니다.
양치질을 안하면 치아가 나중에 하나씩 빠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3분 정도는 해야 구석구석 닦을 수 있겠지요?
치약에는 마모제, 항균제 등이 들어 있어서 양치질하면서 음식찌꺼기를 제거하고 세균을 죽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청량감을 주기도 하고요.
치아 주변에 이물질이 남아 있게 되면 충치가 생길 수 있고 잇몸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약에는 연마제가 들어 있어 치아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양치질을 할 때는 치약을 사용해서 꼼꼼하게 양치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음식 섭취후 음식물 찌꺼기나 남아있으면 입안에 균이 음식물찌꺼기와 결합하여 산을 유발하여 치아를 부식시키고 충치를 유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충치 예방을 위해 양치를 하여 입안의 음식물 찌꺼기를 꼼꼼히 제거하해야 하며, 3분동안 꼼꼼히 양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약에는 불소가함유되어 있어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식후 3분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3분이 지나면 음식물 찌꺼기가 부패되어 충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 ' 눌러주길 부탁드립니다.
입안에는 충치와 잇몸병을 유발하는 병원성 세균들이 많습니다. 그 세균들이 모여있는 치태는 타액으로 인해형성되는 획득피막에 의해 치아표면에 끈적하게 달라붙어있는데, 양치질을 하지 않으면 그 세균덩어리들이 치아표면의 무기질을 탈회시켜 충치가 생기고, 그 세균의 독성으로 잇몸에 염증을 유발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 수록 그 치태들이 석회화되어 치석이 되면 그것이 계속해서 잇몸속을 파고들며 잇몸병을 더 심한 수준으로 진행시키게됩니다. 치태상태일 때 적절한 양치질로 제거를 해준다면 충치나 잇몸병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양치질이 중요한 것입니다.
양치질을 대충하면 안되고 모든 치아면을 깨끗이 잘 닦아주어야 하는데 우리 치아는 28개~32개가 있기 때문에 그 치아들을 다 닦으려면 최소 3분 이상은 닦아야합니다. 양치가 너무 빨리 끝난다면 그건 잘 못닦은겁니다.
치약의 주요성분에는 칫솔질이 잘 되게끔 도와주는 연마제와 충치예방성분인 불소가 있습니다. 탄 냄비를 닦을 때 베이킹소다를 묻혀 문지르면 잘 닦이듯이 칫솔질을 할 때도 치약의 작은 연마제알갱이로 인해 좀 더 잘 닦이게 됩니다. 불소성분은 깨끗한 치아표면과 만나 1분이상 닿게 되면 치아의 성분과 결합하여 좀 더 충치균이 내뿜는 산에 잘 견디게 되기 때문에 충치예방효과가 있습니다.
양치를 하지 않으면 무조건 썩습니다.
식후에는 치아 표면에 당 성분이 남아있고 이게 지속되면 충치균이 활성화됩니다. 충치 예방 및 잇몸관리를 위해 양치질을 해줍니다
3분이라는 시간은 꼼꼼히 모든 치아를 닦는다는 기준으로 최소시간입니다.
성분 중 불소 성분이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생약 성분은 잇몸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그 외에도 치약 중에는 기능성으로 미백치약, 시린이치약 등이 있습니다.
양치질을 한두번 안한다고 해서 충치가 바로 생기거나 그러지는 않겠으나 충치 발생 확률이 올라가는 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정경호입니다.
치약의 핵심 성분은 불소입니다. 불소는 항우식(충치) 작용, 재광화(충치의 반대개념)를 촉진하는 작용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