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없이도 지출 관리 꾸준히 하려면 어떤 습관이나 방법이 있을지?
지출 기록 관려해서 앱을 설치해도 며칠 지나면 기록을 놓치고서 안하게 되더라고요. 종이에 간단히 적는 방식으로는 이게 유지가 될지 저녁 시간 타임에 보통 지출 내역을 쭉 적어가면서 어제와 비교해보곤 하는데 이게 맞는 방법일지 아리송해지더라고요. 지출 세세한 항목을 나누기에는 번거롭기도 하고 크게 묶으면 새는 돈을 못 잡는 딜레마가 있는데, 현실적으로 몇 가지로 묶는 것이 좋았는지 경험을 듣고 싶습니다. 현금과 카드, 송금을 합쳐서 당일 합계만 적는 방식이 꾸준함에 도움이 되었나요?
남들은 뭔가 지출도 잘 관리하는 것 같은데 전 월급은 그대론데 씀씀이만 느는 것 같아서 요새 생각이 많아지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를 쓰지 않고 지출을 관리할 계획이라면 현금이 아닌 100% 카드로 모든
것을 결제하고 해당 카드로 지출을 관리하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지출 관리는 어떤 곳에 얼마의 돈을 사용했는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내 지출을 돌아 볼 때는 기본적으로 지출 내역을 확인하면서 돌아가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출 관리는 현금, 카드, 송금 등 결제 수단별로 지출 합계를 간단히 적는 습관이 도움이 됩니다.
이를 통해 예산 한도를 설정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월 소득에서 생활비만 사용할 수 있는 소비 통장을 하나만 이용하면서 월 예상 생활비를 해당 통장에 이체하고 한달 살기 등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생활비내에서만 사용하고 계획적으로 소비한다면 분명 가계부 없이도 절약하는 습관이 생길 겁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출 항목은 4~5개로 단순화해 보시기 바랍니다. 식비, 교통, 쇼핑, 고정비, 기타로 묶으면 새는 돈도 잡고 기록도 간편해집니다. 현금·카드·송금 합산 후 하루 총액만 적는 방식은 꾸준함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어제와 비교하며 ‘왜 더 썼는지’ 짧게 메모하면 소비 패턴이 눈에 들어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츨관리의 핵심은 월급 받아서 고정지출비용 빼고 몇프로를 저축하느냐 입니다
보통 50프로 이상은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많이하면 70-80프로도 합니다
그리고 중요한건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한달을 부족해도 버티면서 사는거죠
다들 이렇게 돈 모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없이 지출관리릎 잘하려면 가계부어플이나 오픈뱅킹 어플을 설치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러한 것츤 나의 지출과 수입을 정리해서 주기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나의 돈의 흐름을 파악할후 잇게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다라서 참고 해보신ㄴ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직접 적으며 관리가 어려우실 경우 체크카드, 신용카드를 목적별 나눠서 사용하시고 토스나 카카오페이 가계부 기능 활용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세한 기록의 완벽성이 아니라 '내가 돈을 어떻게 쓰고 있는지 인식하는 것'입니다. 복잡한 가계부보다는 간단하더라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훨씬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시간별로도 저녁 시간에 당일 지출을 정리하는 방식은 지출 관리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루를 마무리하며 돈의 흐름을 되돌아보는 과정 자체가 소비 인식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세세한 항목을 나누기엔 번거롭고, 크게 묶으면 새는 돈을 못 잡는다는 딜레마를 해결하는 방법은 적절한 중간 지점을 찾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고정비지출, 그리고 변동비(식재료나 교통비 생필품등)지출, 선택적변동비(외식이나 카페, 쇼핑이나 취미등), 비정기비인 여행비나 병원비, 경조사비를 나눠서 분류하는것입니다.
이것도 힘들면 처음에는 필수소비와 선택적소비로 분류해서 지출관리는 작성하시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지출내역을 일일이 다 적으려고 한다면 가계부를 적기 힘들수 있습니다. 소비를 하는 것에 그룹을 나누어서 일관화 시킨다면 가계부를 작성하는데 더수월할수 있습니다.
식비나 교통비와 같은식으로 정리를 해보는것을 권유드립니다.
결과적으로 소비를 하기 전에 꼭필요한지 곰곰히 생각하는 습관을 가진다면 소비를 하는 빈도를 줄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가계부 대신 습관형 관리법을 활용하는 게 꾸준함에 도움이 됩니다.
핵심은 모든 지출을 기록하기보다 하루 총액과 주요 소비 패턴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지출을 3~4개 큰 항목으로만 구분하고 매주 합계를 비교하면 부담없이 유지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가계부 없이 지출 관리 하려면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계부 없이 지출 관리를 하시려면
반드시 신용카드로 모든 비용을 쓰셔야지
관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