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휴일·휴가 이미지
휴일·휴가고용·노동
곰살맞은듀공107
곰살맞은듀공10723.06.01

대체공휴일 근무한 것에 대한 근무시간 계산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1. 근무시간

- 주 6일, 주 40시간

- 월~금 8:30~18:00(주 40시간을 맞추기 위해 무급반차 주어짐), 8.5시간

- 토요일 9:00~14:00 , 4.5시간

- 총 주 47시간의 근무시간이 발생하는데 7시간에 대해서는 조기퇴근이 주어짐

* 이렇게 근무인데, 5/29 대체공휴일날 근무를 하여 1.5일에 대한 연차가 지급되었는데,

주 반차가 주어져야 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제 생각엔 29일에 일한 것에 대한 보상은 지급이 되어

29일 근무한 시간을 빼고 나머지 근무한 시간으로 주 근무시간을 계산하였는데

전문가분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7시간 조기 퇴근은 주 40시간을 평균적으로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5/29 근무를 해서 유급휴일분 100%는 급여에 이미 받았고

    별도로 해당 근로에 대해 1.5배로 받았다면, 화~금과 토요일의 근무만으로 주 40시간을 따지게 되는데

    주 40시간이 안 되기 떄문에 7시간 조기 퇴근은 불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대체 공휴일에 일한 것에 대한 보상휴가는 평소에 주어지는 무급반차와 별개로 계산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