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따라따라오
따라따라오23.05.05

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거문고은?

옛날 문헌을 보면 거문고 관련 사건이나 기술이 나오곤 합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조상들이 거문고를 즐겼다고 생각되는데요. 가장 오래된 거문고는 어디에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90년경에 제작된 탁영금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거문고입니다.

    이 거문고는 높이 10㎝, 길이 160㎝, 너비 19㎝이며 1490년(성종 21)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문고 중앙 부분에 ‘濯纓琴(탁영금)’이라는 문자가 음각되어 있고 학(鶴)의 그림이 거문고 하단부에 그려져 있다. 거문고의 용두(龍頭)·운족(雲足) 등은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봉미(鳳尾)·괘 등 부품 일부를 개수한 흔적이 보이는데, 거문고 뒷면의 판자(判字)는 필자를 알 수 없으며, 김일손의 친필과 약간 유사하지만, 꼭 친필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 탁영금이 있었다는 기록은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중 동금류변증설(東琴類辨證說)에서 ‘濯纓子 金馹孫書文絃琴背曰 王山岳得七絃琴…’의 글이 보이고 있다.

    또한, 『탁영금보』에 의하면 계축(癸丑) 겨울에 신개지(申漑之)·강사호(姜士浩)·김자헌(金子獻)·이과지(李顆枝)·이사성(李師聖) 등과 함께 글공부를 하면서 여가에 거문고를 배우고, 옥당에 있을 때는 권향지(權嚮之)와도 내왕하면서 배웠다고 하는바, 이들은 모두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배운 사람들이다.

    또한, 동화문(東華門) 밖 어느집 대문의 나무가 좋게 보여서 주인에게 물으니 약 100년은 된 문이라 하기에, 그 대문 판자를 얻어 거문고를 만들고 이름을 ‘문비금(門扉琴)’이라 하였고, 이거사(李居士)에게 부탁하여 학의 그림을 그렸는데, 그 소리가 청월(淸越)하였다고 육현명(六絃銘)에 기록하였다고 한다. 대구의 김헌수(金獻洙)가 소장하고 있던 것을 지금은 국립대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김일손 거문고 [金馹孫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520여 년의 시간을 품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거문고 ‘탁영금’ (보물 제957호) 는 조선 전기 홍문관, 사간원 등에서 언관으로 활동했던 탁영(濯纓) 김일손(1464~1498)이 직접 제작하고 연주했던 거문고로, 그동안 국립대구박물관의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