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24.03.24

난청이라는 증세는 어떤 것을 원인으로 심해지는 것인가요?

나이
42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보통 어르신들이 난청이 심한 분들이 많이 계시잖아요? 보통 시끄러운 산업현장에서 일했던 분들 중에서도 난청이 많으시구요. 어르신들은 젊었을 때 현대처럼 놀이 문화가 발달하지 않았을 텐데도 나이가 들어 난청이 생기기도 하는데 요즘 젊은이들은 음악을 크게 틀어두고 놀거나 클럽에 가는 경우가 많아 큰 소리 환경을 이전 세대보다 많이 접하는데 그럼 지금의 젊은 세대들이 어르신들보다도 나중에 난청을 겪을 확률이 더 높은 것인가요? 아니면 환경적인 것보다는 신체 내부적인 다른 원인이 있나요? 저도 이전보다 작은 소리는 잘 안들리기도 해서 좀 고민이 많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난청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이에는 장기간의 소음 노출, 연령 증가로 인한 청력 저하, 유전적 요인, 귀의 감염이나 질환, 머리 부상, 특정 약물의 부작용 등이 포함됩니다. 이 외에도 내이의 구조적 문제나 중이의 문제, 심지어 일부 질병이 청력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난청은 노화, 소음 노출, 유전, 질병,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인성 난청의 경우 주로 노화에 따른 내이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로 인해 나타납니다. 반면 소음성 난청은 강한 소리에 장기간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발생하는 난청을 말합니다.

    귀에 해로운 큰 소리에 자주 노출되는 것은 청력 손실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클럽, 콘서트, 큰 음악 등 강한 소음 환경을 즐기는 젊은 세대들은 소음성 난청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산업 현장에서의 소음 노출도 여전히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난청의 발생에는 개인의 유전적 소인, 전신 질환, 이독성 약물 사용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소음 노출만으로 난청 발생 위험이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청력을 보호하기 위한 예방적 노력입니다. 큰 소리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필요한 경우 귀마개나 방음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청력 검사를 통해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좋습니다.

    청력 저하가 의심된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필요하다면 보청기 등의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일상 생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