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자동차새로바꾸기
자동차새로바꾸기

왜 북극곰이 멸종 위기종이 되었나요?

Tv에서 북극곰이 곧 멸종할 것이라는 광고를 본 적이 있는데요. 북극곰의 멸종 위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현재는 생존 개체수가 얼마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북극곰이 멸종 위기에 처한 가장 큰 이유는 지구 온난화입니다.

    즉,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의 얼음이 빠르게 녹으면서 북극곰의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고,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지는 것이죠.

    북극곰은 바다 얼음 위에서 주로 생활하며 바다표범 등을 사냥합니다. 그런데 지구 온난화로 바다 얼음이 녹으면서 북극곰은 육지로 내몰리고, 사냥을 위한 이동 거리가 길어져 체력 소모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바다 얼음이 줄어들면 바다표범 등 먹잇감의 서식지도 감소하여 북극곰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집니다. 특히 새끼를 키우는 시기에 먹이 부족은 북극곰의 생존을 더욱 위협합니다.

    그 결과 먹이 부족과 스트레스로 인해 북극곰의 건강이 나빠지고, 암컷의 경우 임신율과 새끼의 생존율이 낮아져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북극곰이 살고있는 빙하의 면적이 줄어들고있기때문입니다.

    지구온난화가 지속될수록 이런 빙하의 면적은 점점줄어들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북극에있던 빙하의 면적이 매우많이줄어들었기때문입니다.

    북극곰은 빙하위에서 사냥을하며 쉬어야하지면

    쉴곳이 점점 줄어들어 대륙으로 밀려났다고합니다.

    다만 개체수는 계속증가하고있는데,

    빙하가아닌 대륙위로 진출하여 그곳에서 개체수를 늘리고있습니다.

  • 북극곰은 기후 변화로 인해 서식지인 북극 해빙이 빠르게 감소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했습니다. 해빙은 북극곰이 사냥, 이동, 번식하는 데 필수적인 환경인데, 지구 온난화로 여름철 해빙 면적이 크게 줄어들면서 먹이 부족과 서식지 파괴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북극곰의 개체수는 약 20,000~25,000마리로 추정되며, 국제 자연보호연맹(IUCN)은 북극곰을 취약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