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23.03.05

바다에 사는 물고기는 삼투압이 안 생기나요?

비다에는 수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는데요 바다물은 짜고 나트륨이 많이 있어 바다에서 사는 물고기는 삼투압에 견뎌야 하는데요 바다에 사는 물고기에는 삼투압이 생기지 않나요 삼투압에 견딜 수 있다면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서 서식하는 물고기들은 바닷물의 염도가 물고기의 염도보다 높기 때문에 몸에 물이 나가지 않도록 혈액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바닷물과 맞춘다고합니다. 그래서 삼투압에의해 물이 빠져나가지 않고 살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해수어는 소변으로 배출하는 요소를 다시 흡수하여 바닷물과 유사한 농도를 맞추어 삼투압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삼투압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삼투압이란 물고기의 몸속에 있는 액체와 바다물의 염분 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말합니다. 물고기는 이 압력 차이로 인해 물과 염분을 통해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바다물은 짜기 때문에 물고기의 체액 농도보다 높은 나트륨 및 염소 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고기의 신장은 바다물에서 나트륨과 염소를 제거하고 체액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물고기는 삼투압에 대처하며 바다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또한 물고기의 피는 진해집니다. 이는 물고기의 혈액이 염분 농도와 물의 농도 차이로 인해 묽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진해 작용은 물고기의 혈액이 바다물과 더 잘 혼합되어 삼투압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삼투압에 대처하기 위해 생리적으로 적응되어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6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 사는 대부분의 물고기는 삼투압이 생깁니다. 삼투압은 물 속에서 생활하는 생물들이 마주하는 문제 중 하나로, 물 속의 압력이 지표 위의 공기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물고기가 먹이를 삼킬 때 내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소화기관 내부 압력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일부 물고기들은 삼투압을 조절하기 위해 특별한 물리학적, 생물학적 적응 기전을 발달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해마는 큰 폐를 가지고 있어 수면으로 올라와서 공기를 마시는 등 호흡 방식을 바꿔 삼투압을 줄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삼투압현삿이 일어나지 않게 바다와 동일한 체액의 염도를 유지하는 생물들도 존재하고, 체내의 수분을 빼앗기지않기위해 삼투압현상이 일어날 수 없는 이온교환막을 가진 채, 체내의 에너지를 활용한 능동수송을 이용하여 산소 및 수분을 흡수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다양한 압력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높은 적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고기의 몸속에는 비율이 매우 균일한 물질인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몸 안쪽과 바깥쪽 간의 압력 차이가 발생해도 그 영향이 미미합니다.

    또한, 물고기의 몸은 물의 밀도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안에서는 거의 압축되지 않고, 몸체의 크기와 형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물고기는 깊은 바다에서도 삼투압 문제 없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물고기들은 깊은 해저로 내려갈수록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몸의 밀도가 변화하고, 몸 내부에 있는 공기 포함 부위(예: 늑골, 방관 등)에서 압력 차이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물고기들은 몸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리학적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