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미국이랑 베트남이 상호관세를 합의했다는데 우리 기업에 영향이 어떻게 되나요?

미국이 베트남 제품에 기본 20퍼센트 관세에다가 우회수출은 40퍼센트 까지 매긴다는 뉴스를 보았는데요 저희도 베트남을 통해서 미국으로 물건을 보내는 구조가 있어서 괜히 걱정됩니다. 앞으로 이런 루트가 다 막히게 되는 건지 아니면 다른 대안이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실무에서 이런 고민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셨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실무상 걱정할 부분은 크게 없습니다. 우회수출은 중국산 물품에 대한 것이며 한국산은 15%이기에 이에 따라 한국기업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고율 관세를 적용하기로 한 건 사실상 우회수출을 차단하려는 목적이 큽니다. 우리 기업도 베트남 생산기지를 활용해 미국으로 보내는 구조가 많기 때문에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원산지 증명이나 부가가치 기준을 엄격히 보게 되면 단순 가공은 인정받기 어려워지고, 미국 세관이 서류 검증을 강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대안으로는 베트남 내에서 실질적 생산공정을 확대해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거나, 다른 FTA 체결국을 통한 직접 수출 루트를 다변화하는 방법이 거론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베트남산 제품에 대해 강한 관세를 매긴다는 뉴스는 사실 우리 기업에도 꽤 민감한 이슈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베트남을 경유해서 미국으로 수출하는 구조가 많은데 단순히 원산지만 베트남으로 찍혀 나간다고 해서 다 인정받는 건 아니죠. 미국은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원산지 검증을 훨씬 더 까다롭게 들여다볼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그냥 베트남을 통로로 활용하는 방식은 위험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고 완전히 길이 막히는 건 아닙니다. 실제로 생산공정이 베트남에서 일정 수준 이상 이뤄지고 부가가치가 발생한다면 합법적인 베트남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요건 충족을 증빙할 서류를 제대로 준비해야 합니다. 결국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원산지 규정 맞추는 전략을 새로 세우고 혹은 공급망을 재조정하는 선택지를 같이 고민해야 하는 시점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