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완벽히부드러운배
완벽히부드러운배

기준금리인하되면 은행 대출금리도 내려갈수 있다 이렇게 생각 하는데 대출금리는 더 올리는 실정인거 같아요 ?

기준금리가 내려가고 대출금리가 올라가면 은행들에게만 특해가 생겨나는건 아닌가요? 그걸 막기위해 대출 규제를 하는 건가요? 그렇다면 서민들을 위한 대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이런상황에서 부동산이나 다른 곳에 대출을 받아서 투자를 한다는건 안좋은 생각 이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 고금리가 유지되면서 저가형 빌라 같은 경우는 급매가 많이 나왔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버티지 못하고 급매로 내놨기 때문에 예전보다는 더 싸게 살 수가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 건이 그런데요 지금 같이 대출금리가 오르고 고금리 상황이라는 거를 알고 있다면 그 급매 나온 거를 거두는 것이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투자에 성공일 수도 있지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내리면 은행의 대출 금리도 함께 내리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금융기관을 압박하여 가계부채가 증가하지 않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금융권에서는 대출 수요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금리를 올리는 방법 말고는 없습니다. 고객이 대출을 신청한 경우, 대출을 거절할 때 반드시 그 사유를 고객에게 알려야 합니다. 따라서 금융기관은 정부의 가계대출 감소를 위해서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습니다.

  • 최근에는 조금 특수한 상황입니다. 기준금리가 내려가기 때문에 대출금리도 내려가는게 정상인데 요즘 가계대출이 너무 많고 부동산 경기도 뜨거워질까봐 정부에서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은행들을 압박하면서 대출 조이기를 주문했기 때문에 대출 이자율이 내려가지 않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대출금리는 기준금리+가산금리로 결정됩니다 가산금리라는게 개인신용도와 은행의 수익과 비용이 포함되어서 결정되는거구요 기준금리는 채권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중금리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우리나라의 현재 기준금리는 3.25% 이고 국고채 3년물 금리가 2.92% 10년물 금리가 3.09% 정도 거래중입니다 이미시중금리가 1차례 25비피 인하를 반영한 상태에서 거래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현재 기준으로만 보면 기준금리를 인하한다고 해서 당장 대출금리가 내려가고 그런건 없을거 같습니다

    앞으로 내년에 기준금리를 몇회인하를 예상하느냐에 따라서 시중금리가 그걸 반영하는데 내년 우리나라는 1분기에 1차례 3분기에 1차례씩 25비피씩 총 2회 인하를 한다가 대세입니다

    그러니 단기간에 대출금리가 내려갈 경우는 크게 없을거라 저는 생각하구요

    기본적인 자금여력없이 풀대출로 부동산 투자를 지금 하는건 좀 위험한 생각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에도 나름대로 고충은 있습니다. 현재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정부에서는 늘어나는 가계부채를 막기위해 DSR 2단계 스트레스 대출규제까지 하고 있죠.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예적금 이자도 내려가고 대출금리도 기준금리는 내리지만 가산금리를 조금씩 올리거나 해서 크게 효과가 없어 보입니다.

    현재는 한국 주식시장은 그렇게 매력적이지 못합니다. 유동성이 둔화되고 미국 트럼프가 대통령이 되는 바람에 크게 긍정적이지는 않은 상황이죠.

    현재는 한국 증시보다 미국 증시에 관심을 가져보거나 가상화폐 시장이 더욱 매력적일 수 있죠.

    미국 장이 어려우시다면 ETF를 투자하는것으로 간접적인 투자방법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