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근로계약

그리운집게벌레115
그리운집게벌레115

직군 관련 부당 대우 문의드립니다..

1. 22년 계약직 입사(직군없으나 사업부내 혼자 a업무 수행)

2. 23년 말부터 b직군 업무 병행

3. 24년부터 b직군 전담 및 a 업무 사업규모 축소 병행

4. 24년 중순 정규직 전환

5. 24년 10월 b직군 발령 및 업무과중으로 최소 7시~최대 11시 매일 야근(4개월정도)

정상퇴근시간 5:30, 포괄임금제라 연장수당, 야근수당 없음

6. 본인 지각 1분~10분 잦았음(주 3-4일)

7. 근데 알고보니 나는 직군이 없다함(직군 반영됨에 따라 급여테이블이 다름), b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정규직 전환이라 또다시 평가해야 b직군으로 전환된다 함, 근데 근태땜에 전환이 어렵다 함

8. 너무 부당하다 생각, 퇴사 생각하고 있는데 퇴사 전 협상해보거나 문제 제기할 근거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범철 노무사입니다.

    B 직군 업무를 수행하면서 동일·유사한 업무를 하는 다른 B 직군 직원에 비해 급여나 근로시간 등에서 차별이 있다면, 이는 「근로기준법」 제6조 또는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또한 적법한 포괄임금제를 적용받고 계시더라도, 해당 정액급여 산정 시 야간·연장근로 가산수당이 실제로 반영되지 않았다면 이는 임금체불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 포괄임금 산정내역을 요청해, 가산수당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반드시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규직 전환 문제는 별개의 사안입니다. 지각이 잦은 등 근태 불량을 이유로 정규직 전환을 배제하는 것은 취업규칙 등 사규에 따라 허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B 직군의 일을 수행하면서도 동일·유사 업무를 하는 다른 직원들보다 불리한 근로조건을 적용받았다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법적으로 다툴 여지가 있다고 판단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