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느낌의 그림자
느낌의 그림자24.02.03

사춘기 아이들에 대한 대화법은 어떤 것이 좋을까요?

사춘기 아이들은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데 어떤 대화의 방법을 사용해야 아이들과 갈등을 줄이면서 관계를 부드럽게 이어나갈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명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되면 아이들은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겉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갈등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아이와 대화할때는 열린마음으로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지유롭게 표현할수 있도록 해야하며 아이의 말을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면 사춘기 시기의 아이성장에도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아이와 대화를 할때 나전달법을 사용해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아이와의 대화시 자신의 감정에 대해서전달하도록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시절부터 아이를존중하고이해하고공감하는부모라면

    아이와트러블없이잘지내고 이야기를 나눌수있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04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아이가 하는 말과 행동의 속뜻을 읽어주면서 그럴 때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고 이끌면 좋은지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려주는게 좋아요. 해야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들을 예를 들어 알려주는것도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 아이들에 대한 대화법은 아이가 언제든지 부모를 찾아와서 말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배려가 있어야 합니다

    항상 설득하고 이해 시키려는 자세가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되면 부모와의 대화를 거부하고 자신들의 방에서 나오려고 하지 않는답니다

    평소에 아이의 의견을 존중하고, 아이의 일상 생활 활동에 관심을 가지면, 아이가 먼저 다가올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가는 시기입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최대한 갈등 상황은 피하고 힘든 과정을 지나고 있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