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순조시기 공노비 해방
안녕하세요.
한국사에서 조선시대 세도정치 순조시기에 보면
공노비를 해방 했다고 하던데
어쩌다가 공노비를 해방하게 되었나요?
그 배경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왕실(王室)과 관아(官衙)에 예속되었던 노비. (노비는 고대(古代) 이래 계속 존재하였으나, 고려시대에 이르러 최하층 계급으로서의 공사노비제도(公私奴婢制度)가 엄격하게 시행되어, 노비의 매매·증여·상속 등이 공인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공노비를 공천(公賤)이라고도 했는데, 이 공천은 사노비(寺奴婢)·내노비(內奴婢)·역노비(驛奴婢)·관노비(官奴婢) 등으로 분류되었다. 노비의 수가 많아지자, 노비층 자체에서도 우열의 차이가 생겨, 사노비(私奴婢)보다 권세가 있는 공노비는 노비로서 노비를 소유하기도 하였다.고려시대 이래 노비문제는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는데, 고려·조선 시대에 걸쳐 약 1000년간 계속되었다. 1801년(순조 1) 공노비 해방이 이루어지고, 1894년(고종 31)의 갑오개혁으로 노비제도는 폐지되었다. 노비의 노(奴)는 남자 종을 말하고 비(婢)는 여자 종을 말한다.)
하교하기를, “선조(先朝)께서 내노비(內奴婢)와 시노비(寺奴婢)를 일찍이 혁파하고자 하셨으니, 내가 마땅히 이 뜻을 이어받아 지금부터 일체 혁파하려 한다. 그리고 그 급대(給代)는 장용영(壯勇營)으로 하여금 거행하게 하겠다” 하고, 인하여 문임(文任)으로 하여금 윤음(綸音)을 대신 지어 효유케 하였다. 그리고 승지에게 명하여 내사(內司)와 각 궁방(宮房) 및 각 관사(官司)의 노비안(奴婢案)을 돈화문(敦化門) 밖에서 불태우고 아뢰도록 하였다.
【내수사(內需司) 각 도의 노비와 영흥(永興)⋅함흥(咸興)의 두 본궁(本宮)에 소속된 노비 및 육상궁(毓祥宮)⋅선희궁(宣禧宮)⋅명례궁(明禮宮)⋅수진궁(壽進宮)⋅어의궁(於義宮)⋅용동궁(龍洞宮)⋅영빈방(寧嬪房)에 소속된 각 도의 노비는 도합 3만 6974구(口)였고, 노비안의 책 수는 160권이었다. 종묘서(宗廟署)⋅사직서(社稷署)⋅경모궁(景慕宮)⋅기로소(耆老所)⋅종친부(宗親府)⋅의정부(議政府)⋅의빈부(儀賓府)⋅돈녕부(敦寧府)⋅충훈부(忠勳府)⋅상의원(尙衣院)⋅이조(吏曹)⋅호조(戶曹)⋅예조(禮曹)⋅형조(刑曹)⋅의금부(義禁府)⋅도총부(都摠府)⋅좌순청(左巡廳)⋅우순청(右巡廳)⋅장용영(壯勇營)⋅내시부(內侍府)⋅장례원(掌隷院)⋅사간원(司諫院)⋅성균관(成均館)⋅홍문관(弘文館)⋅예문관(藝文館)⋅종부시(宗簿寺)⋅내섬시(內贍寺)⋅사옹원(司饔院)⋅시강원(侍講院)⋅익위사(翊衛司)⋅사포서(司圃署)⋅중학(中學)⋅동학(東學)⋅남학(南學)⋅서학(西學)에 소속된 각 도의 노비는 도합 2만 9093구였고, 노비안의 책 수는 1209권이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공노비 [公奴婢] (문화원형 용어사전, 2012.), 국사편찬위원회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후기에는 노비 가운데 부를 축적한 자가 납속하거나 관리와 결탁하여 신분 상승을 도모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속대전》에는 외거노비가 양인이 되기 위해서는 쌀 13석만 지불하면 되도록 규정하였습니다. 이에 노비의 신분 해방이 현실로 다가왔고, 1801년(순조 1)에 공노비를 해방한 다음, 86년(고종 23)에 노비 소생의 매매를 금지하여 양인이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94년 노비제가 폐지되면서 외거노비는 완전히 소멸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01년 순조 재위시기 공노비 일부를 해방시켜 주는데
순조는 양인의 수가 급감함에 따라 천인으로 취급받던 공노비를 해방시켜 양인의 수를 늘려 세금 자원을 늘리기 위한 방법이었습니다.
순조시대 공노비를 해방시킨 결정적인 원인으로,
순조왕이 “아무리 날 때부터 정해진 신분이 있다고들 하나 과인이 보기엔
다 똑같은 백성들이다.” 하고 공노비를 해방시켰다고 보기에는 약한 것 같습니다.
당시 노비가 전체 인구의 40% 정도 되었으니까
국가 경제가 잘 돌아가지 않았습니다.
세수가 적었기 때문입니다.
세수를 늘리고 국가 경제를 가동시키기 위해 사노비는 건드리지 못하고
공노비만 우선 해방 시킵니다.
그리고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모든 노비를 폐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비는 16세기 말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군공 등을 통하여 신분을 상승시키기도 하였으나, 주로 도망하여 노비 신분에서 벗어났습니다. 또, 노비 가운데 수공업자가 된 자나 농사를 잘 지어 재산을 모은 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양인으로 상승해 갔습니다. 이에 따라 시대가 흐를수록 노비 인구는 감소되어 갔습니다.
노비는 상민과 경제적 처지가 같다 하더라도 노비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에서 냉대를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노비들은 노비 신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노력하였으며, 노비의 도망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는 상민과 노비의 인구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재정상 어려움을 주었고, 국방상으로도 지장을 주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노비를 해방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공노비 제도는 사실상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노비 해방은 신분제의 붕괴를 정부 스스로가 인정한 것이었고, 장기간에 걸친 노비들의 신분 해방 운동의 성과이기도 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18세기 이후의 조선 사회에서는 양반 중심의 신분제가 크게 동요되어 신분 간의 상하 이동이 활발해졌습니다. 그리하여 종래의 신분적 예속 관계는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