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사라는 관직은 얼마나 높은 자리인가요?
임진왜란당시 이순신장군이 했던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자리는 얼마나 높은 자리이며 임진왜란이 끝난 후에는 통제사라는 자리는 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군통제사는 임진왜란 중에 설치된 종2품 외관직의 무관입니다.
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3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1593년(선조 26) 8월 평양과 서울 수복 이후 조정에서는 일본군의 해상 퇴로를 차단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수군에 통제사라는 새로운 직제를 만들고, 초대 수군통제사에 전라좌수사였던 이순신(李舜臣)을 임명하였다.
전(全)수군을 통솔할 지휘관이 없어 왜적의 침입에 즉각 진압할 체제를 갖추지 못하였고, 조정의 명령에 따라 연합함대를 구성한 후에도 각도 수사(水使)가 도별로 선단(船團)을 지휘, 각 선단간의 의견이 상충하여 효과적으로 전국(戰局)을 운영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순신에게 수사 이하 각 지휘관들이 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군법으로 처벌할 수 있는 지휘권을 부여하였다.
통제사는 정3품 수군절도사보다 상위직으로, 각 도의 지방행정의 최고직인 관찰사와는 같은 품계였으나, 그보다 상위 품계에서 기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2대 수군통제사는 원균(元均)이었고, 4대 통제사 이시언(李時言)부터는 거의 경상우수사가 겸직하였다.
법제적으로는 임기 2년이었고, 그 아래 수사나 수령과는 엄격한 상피제(相避制)가 적용되었다. 수군통제사가 지휘하는 곳을 통제영(統制營) 또는 통영(統營)이라 하는데, 처음에는 한산도에 두었다가 임진왜란이 끝난 후 두룡포(豆龍浦:충무시)로 옮겨 1895년(고종 32) 7월 폐영될 때까지 300년간 존치되었고, 그 동안 208명의 수군통제사가 체임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수군통제사 [水軍統制使]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군통제사는 조선 후기 서반의 종 2품 관직입니다.
경상, 전라, 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으로 임진왜란 중 각 도 수사간의 원활한 지휘 체계를 위해 1593년 8월 삼도수군통제사라는 관직을 신설, 왜 수군을 크게 무찌른 전라좌수사 이순신을 겸직으로 임용한 것이 시초이며
1895년 7월 폐영될때까지 300여년간 존치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제사라고 하는 직급은 종 2품 외관직으로 지금으로 따지면 도지사 혹은 검사장 혹은 법원장 정도에 해당하는 지급 입니다. 임진왜란 후에도 존속 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도수군통제사는 지금으로 치면 3성 장군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군단장급 지휘관이지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를 아우르는 해군제독이었고
당시 조선의 전 함대를 움직였다고 보면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오늘 날로 보자면 해군참모총장이므로 4성 장군 정도 지위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조선시대에 높은 관직이었다고 할 수 있지요.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도통제사·삼도수군통제사 또는 통곤(統閫)이라고도 한다. 경상·전라·충청도 등 삼도의 수군을 지휘, 통솔한 삼남 지방의 수군 총사령관이다.
본래 삼남 지방의 수군은 5도(五道 : 충청도·전라우도·전라좌도·경상우도·경상좌도)로 분할되어 각 도에는 수군절도사를 두어 해구(海寇)에 대처해왔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