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왜 팔고 바로 현금으로 바꿀 수 없나요?
가상화폐나 코인은 판매하고 나서 바로 예치금이 되어서, 현금으로 바꾸는 게 가능한데,
주식은 왜 바로 바꾸는 게 어렵고 기다려야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한국증권거래소와 증권사간의 결제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입니다.
코인처럼 거래소가 즉시 현금화해주는 방식이 아니라 증권사에서 거래소에 매도 요청을 하고 매도가 되면 거래소가 증권사에게 정보를 넘기게 되며 자금이 오가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팔고 바로 현금으로 바꿀 수 없는 이유는 주식 거래의 결제 과정 때문입니다. 주식 거래는 큰 금액이 오가는 만큼, 거래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제 및 정산 과정을 통해 주식과 현금이 확실하게 교환될 수 있도록 합니다. 결제 및 정산 과정에서 거래 내역을 다시 한번 확인하여 오류를 방지합니다. 증권사는 투자자의 자금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결제 및 정산 과정을 통해 자금 흐름을 조절합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경우는 T+2(거래일로부터 2영업일 후) 현금으로 이체가 가능한데
이 이유는 주식을 사고파는 과정에서 자금과 주식이 확실하게 교환되는지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고자 결제 시간을 두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주식과 자금의 이동이 여러 기관을 거치므로 정산에 대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이는 주식 결제 제도 자체가 T+2일 결제 제도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하며, 코인과 다르게 주식은 중앙거래소(한국거래소, ATS)의 통제를 받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은 왜 팔고 바로 현금으로 들어오지 않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주식은 실제로 한국 예탁 결제원이란 곳에서 거래가 이뤄지기에
바로 현금화가 되지 못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경제 제도는 거래일로부터 2영업일 이후 결제되어 대금이 매도자에서 지급되는것인데요.
이는 시장의 안정성 유지와 거래에 대한 처리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통은 2일정도 후에 대금이 입금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중앙거래소에서 거래를 통제하고 예탁결제원과 각 증권사에 전산시스템 등록이 필수로
이행이 되어야 하기에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해당 전산시스템을 개선한다면 더욱 앞당기는 것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미국은 3일이였던 결제일을 최근에 전산 개선을 통해 2일로 앞당겼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증권사에서 사고파는 행위를 대행해주는 것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실제 정확한 매매와 복잡한 제반절차가 시행되어야하다보니 2영업일이 소요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거래 결제 시스템 때문에 즉시 현금화가 어렵습니다.
주식거래는 한국예탁결제원 같은 기관을 통해 청산 및 결제 과정을 거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