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비농업인 취업자수와 실업률은 어떤 차이인가요?

오늘 비농업인 취업자수와 실업률 발표가 있던데 비농업인 취업자수는 즉 취업한 사람들을 말하잖아요?

전체에서 비농업인 취업자수를 빼면

그게 곧 실업률인 것 같은데

두개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비농업인 취업자수와 실업률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단순히 하나를 전체에서 빼서 계산되는 것은 아닙니다. 각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개념과 차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비농업인 취업자수

    정의: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 산업(예: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에 종사하는 취업자의 수를 말합니다.

    포함 대상: 일을 하고 있는 사람 중에서 농업 분야를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활동 중인 사람.

    의미: 특정 시점에서 경제의 주요 산업(비농업 부문)의 고용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

    2. 실업률

    정의: 경제활동인구(취업자 + 실업자)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계산 공식:

    \text{실업률} = \left( \frac{\text{실업자 수}}{\text{경제활동인구}} \right) \times 100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친 숫자.

    비경제활동인구: 일할 의사나 능력이 없는 사람(예: 학생, 가정주부, 은퇴자 등)은 제외.

    ---

    3. 주요 차이점

    대상:

    비농업인 취업자수는 단순히 '취업한 사람'만 포함하고, 그 중에서도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제외합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전체에서 일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실업자)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범위와 관계:

    비농업인 취업자수는 특정 산업(비농업) 취업자만을 보지만, 실업률은 경제 전반을 대상으로 실업 상태를 측정합니다.

    두 지표는 서로 직접적으로 계산될 수 있는 관계가 아닙니다.

    ---

    4. 오해가 생기는 이유

    비농업인 취업자수가 경제활동인구 중 일부를 나타내기 때문에, 비경제활동인구(예: 농업 종사자, 일하지 않는 사람 등)와 실업자를 모두 제외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업률은 비농업인 취업자수와는 독립적인 계산 방식을 가집니다.

    ---

    5. 정리

    비농업인 취업자수: 비농업 부문에서 취업한 사람의 숫자.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 상태인 사람의 비율.

    두 지표는 각각 다른 목적과 의미를 지니며, 경제의 고용 상태를 다양한 관점에서 보여주는 보완적 역할을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농업인 취업자수와 실업률에 대한 내용입니다.

    말씀대로 비농업인 취업자수는 농업인을 제외한 것입니다.

    다만 실업률은 비농업인, 농업인 모두를 감안한 수치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농업인취업인구는 농업을 제외한 산업에서 임금근로자의 총계를 의미하며 정규직·비정규직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임금근로자를 말합니다. 실업률은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라서 경제활동인구냐 아니냐라는 차이가 있어서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농업인 취업잣수는 만 15세 이상의 생산 가능 인구 중 일을 하고 있거나 일자리를 찾고 있는 사람수를 말합니다.

    비농업인 취업자 수는 생산 가능 인구중 취업 상태에 있는 사람의 수를 나타내며, 실업률은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의 비률을 나타냅니다. 두 지표의 차이점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비농업 취업자 수는 농업을 제외한 고용 증가를 측정하고, 실업률은 전체 노동 기능 인구 중 일할 의사가 잇으나. 일하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로, 기준과 계산 방식이 달라 두 지표는 연결되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