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빙하가 녹는 속도는 남극보다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극지방에는 낮은 온도가 유지되어 바닷물이 얼어생긴 빙하가 남겨져 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으로 빙하가 녹고 있습니다. 북극 빙하가 녹는 속도는 남극보다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북극(바다)과 남극(대륙)은 같은 위도(자오선)에 있지만 기온은 달라요.
북극(바다)의 기온은 평균 영하 35~40도.
남극(대륙)의 기온은 평균 영하 55도.
북극(바다)이 남극(대륙)보다 조금 더 따뜻해요.
남극의 대륙을 덮고 있는 얼음은 햇빛을 반사해 온도를 머금지 못하고,
북극의 바다는 열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그로인해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북극의 빙하 녹는 속도가 남극에 비해 빨라요.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하고 지구의 뜨거운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줄어들어
지구온난화를 넘어 지구열대화 시대가 도래하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북극 빙하가 남극보다 더 빠르게 녹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죠.
1. 위치와 환경: 북극은 바다 위에 있는 빙하로, 주변 바다의 따뜻한 물과 직접 접해 있습니다. 반면 남극은 대륙에 있는 빙하로, 상대적으로 차가운 환경을 유지합니다.
2. 온도 변화: 북극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받습니다. 기온 상승이 북극에서 더 두드러지기 때문에, 빙하가 더 빨리 녹습니다.
3. 해양 순환: 북극의 해수는 따뜻한 해류와 연결되어 있어, 이로 인해 빙하가 더 쉽게 녹습니다. 남극은 차가운 해수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북극의 빙하가 남극보다 빠르게 녹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