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영민한바다사자109
영민한바다사자109

본인이 잘못하고 변명만 하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이가 잘못을 했을 때 꾸중을 듣기 싫어해서 변명을 자주 합니다.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올바르게 대처하는 방법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변명을 하는 것은 그 위기와 상황은 모면하기 위해 얼렁뚱땅 답변을 하고 아니라고 회피를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본인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을 하게 되면 이 변명은 거짓말로 둔갑하고, 아이는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한 채 안 좋은 습관은 반복적으로 실수를 하게 될 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이와같은 행동은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것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은데요.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만 늘어놓은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만 하는 태도는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고, 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변명으로 둘러대는 것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대한 기대치가 높거나 아이를 훈육 할때 강박이 많거나 심하게 혼내는 경우 아이가 잘 못 했어도

    혼이 나는 것이 두렵고 무섭기 때문에 변명을 하거나 절대 잘 못을 인정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보통 부모님들은 아이가 변명을 하고 거짓말을 하게 되면 더 큰 소리로 아이를 혼을 내거나 합니다

    그러다 보면 아이들은 더울 주눅이 들고 마음이 닫히게 됩니다

    항상 아이와 대화 시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고 편을 들어 주어 아이와 소통이 되면 아이가 말하는 도중에

    스스로 잘못을 이야기하고 반성 할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신뢰가 있어야 하고 부모님 말에 대해 설득이 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마음을 공감하고 이해해 주세요

    잘못을 지적하기 보다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봄니다.

    변명 대신에 올바른 행동과 표현을 하도록 가르쳐 주시고,

    올바른 표현을 했을 때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칭찬을 통해서 아이는 자존감이 올라가고 긍정적인 작용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만약 아이가 잘못을 한 다음에 변명만 한다면 평소에 부모님께서 솔직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면서 잘못을 했을 때 즉시 인정하고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모습을 평소에 많이 보여주시면 아이도 부모님을 본받아서 변명을 하지 않을 것이니 참고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잘못 한 부분은 인정하지 않고 반성없이 회피하는 것은 자존심과 감정적인 불편함 때문일 수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실수를 인정하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 성장의 중요한 과정임을 알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실수를 솔직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실수를 통해 배울 수 있는 점을 강조하면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부모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이며 모범을 보여주는 것도 아이가 책임감을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될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며 긍정적인 사례를 통해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본인이 잘못하고 변명만 하는 아이에게는 책임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잘못한 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하고 그 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설명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꾸중 대신 칭찬을 우선하고, 아이가 잘못을 인정하는 상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해 주세요.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는 기회를 주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