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안과 혀쪽에 수포같이 뭐가 났습니다
이틀전부터 목이랑 혀가 너무 아파서 사진 찍어보니 이렇게 올록볼록 뭔가가 올라오고 엄청 빨간데 왜 이런걸가요? 이 상태에 탄튬해도 안아플까요?
안녕하세요. 신성현 내과 전문의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수족구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소아뿐만아니라 성인 감염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인후주변 수포성 혹은 궤양성 병변을 일으키면서 통증이 심한것이 특징입니다.
소아에서 흔한 ‘수두’와 ‘수족구병’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은 성인도 방심할 수 없습니다. 성인은 소아에 비해 이전 감염력과 예방접종 등을 통해 면역력이 있어 감염 노출 후 발병 위험이 낮을 뿐입니다. 과거 바이러스성 질환, 특히 수두 병력이나 백신 접종력이 불분명한 부모라면 자녀와 접촉 시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면역성 확인을 해야 합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 또는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발열과 함께 손, 발, 입에 물집이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혀, 볼의 점막, 입술 등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어린이집, 유치원 등 집단 생활을 주로 하는 영유아의 발병률이 가장 높습니다.
잠복기는 보통 3~7일이며, 전염성이 매우 강합니다. 전염은 직접 접촉과 비말을 통해 이뤄지며,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에서도 전파될 수 있어 여름철 주의해야 할 바이러스 질환 중 하나입니다. 영유아는 면역력이 약해 방치하면 신경계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지만, 성인은 증상이 있어도 미미하여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성인 감염자는 자신이 수족구병에 걸린 것을 잘 인지하지 못해 의도치 않게 영유아에게 감염시키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아이의 개인위생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철저한 위생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수족구병은 현재까지 예방 백신이 없으며, 치료는 증상에 따라 해열 진통제와 충분한 수분 보충을 권장합니다.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은 위생 관리로, 특히 여름철 인파가 많이 몰리는 장소에는 외출을 삼가고, 외출 후 올바른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합니다. 또한, 아이들의 장난감과 집기 등의 청결을 유지하고,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바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자가 격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