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07.04

버마 암살 폭발 사건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지금 미얀마를 과거에는 버마라고 불렀잖아요. 그 버마에서 우리나라 대통령이었던 전두환씨를 암살하려고 했다고 하던데, 버마 암살 폭발 사건의 배경이나 결과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웅산 테러 사건은 북한이 1983년 10월 9일 당시 버마(현 미얀마)를 방문 중이던 전두환 대통령 및 수행원들을 대상으로 자행한 테러를 말한다. 당시 전 대통령의 서남아·대양주 6개국 공식순방 첫 방문국인 버마의 아웅산 묘소에서 일어난 강력한 폭발로 인해 대통령의 공식·비공식 수행원 17명이 사망하고, 14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이 사건으로 순직한 희생자는 서석준 부총리, 이범석 외무부장관, 김동휘 상공부장관, 서상철 동자부장관, 함병춘 대통령비서실장, 이계철 주버마대사, 김재익 경제수석비서관, 하동선 기획단장, 이기욱 재무차관, 강인희 농수산차관, 김용한 과기처차관, 심상우 의원, 민병석 주치의, 이재관 비서관, 이중현 동아일보 기자, 한경희 경호원, 정태진 경호원 등 모두 17명이다.


    사건 발생 후 전 대통령은 나머지 일정을 중단하고 이튿날인 10월 10일 새벽 급거 귀국하였고 우리 정부는 한국정부조사단을 현지에 파견해 버마측과 합동 조사를 진행했다. 그리고 버마 수사당국은 이 사건이 북한 김정일의 친필지령을 받은 북한군 정찰국 특공대 소속 진모(某) 소좌, 강민철 대위, 신기철 대위 등에 의해 자행됐다는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사건 용의자들은 미얀마 주재 북한 대사관 정무 담당 참사관 전창휘의 집에 은거한 후, 전두환 대통령 일행이 버마에 도착하기 하루 전 새벽에 아웅산 묘소로 잡입하여 지붕에 2개의 폭탄을 설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결과 발표 직후 버마 정부는 북한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버마 주재 북한 대사관 요원들에 출국 명령을 내렸다. 당시 버마는 우리 정부는 물론 북한과도 수교국이었다. 그리고 그해 12월 9일 양곤지구 인민법원 제8특별재판부는 테러범에 대해 사형선고를 내렸다. 또한 이 사건으로 코스타리카·코모로·서사모아 등 3개국이 북한과의 외교를 단절하였으며, 미국·일본 등 전 세계 69개국이 대북한 규탄성명을 발표하였다.

    출처 : 시사상식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