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검소한큰고니230
검소한큰고니23022.12.05

허리가 굽었습니다. 치료방법이 있나요?

나이
41
성별
남성

평소 자세가 안좋았는지 허리가 휘고 거북목이 심하더라고요. 자세를 똑바로 한다해도 얼마 못가 똑같아 지더라고요. 혹시 치료법이나 재활로 가능한것 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목의 통증은 목 디스크를 감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디스크의 정식 병명은 추간판 탈출증으로 추간판의 수핵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함으로서 나타나는 일련의 증상입니다.

    경추 전만이 사라지게 되면 추간판이 뒤로 밀리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실제로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해 경추 디스크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많은 분들이 목 통증 및 결림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예방은 목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하여 척추 뼈를 올바르게 정렬하고 추간판 탈출증이 생기지 않게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맥켄지 운동이라고 하는 운동법을 추천합니다. 이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양팔을 만세 자세로 올린 다음 어깨 높이로 팔꿈치를 떨어뜨린 후 등을 당기면서 목을 뒤로 구부리는 신전운동을 해주는 것으로 자주 해주시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약물이나 침치료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효과만 있어 늘 건강한 목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나나 도수치료등도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견인치료도 병행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혹은 정형외과 의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료 및 처방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한다면 목이 굴곡되지 않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모니터를 본다면 눈높이 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좋으며 휴대폰을 사용시에도 눈높이 이상으로 유지하시고 베개도 경추베개 등으로 바꿔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돌출된 수핵은 면역기전에 의해 저절로 줄어들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거북목과 같이 장기간에 걸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는 장기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자세 교정에 도움이 되는 피트니스, 필라테스 등의 운동을 해주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서서히 교정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병원에서 시행하는 물리치료, 도수치료 등은 보조적인 수단일 뿐 근본적인 치료법이 아니며, 안타깝게도 단기간에 거북목을 치료하는 방법은 따로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성장기가.. 지난 시점에서 척추측만증이나 일자목을 교정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병원에서 권유하는.. 치료들은 허리 근육을 강화시켜주거나 만성적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부위에 물리치료를 해주는.. 것입니다. 허리코어 근육들을 강화시켜.. 통증을 완화시킬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거북목 및 디스크의 경우 경추 주변의 근육도 영향을 받기때문에 최소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거북목이나 거북등 증후군은 수년 동안 잘못된 자세에 의해서 생긴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몇 번 자세를 고쳐 본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는 아니랍니다. 원래대로 돌리기 위해서도 수개월 내지는 수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도 3개월 이상 걸리거든요. 안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시간이 걸리니 자세를 바르게 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 보시고, 근처 정형외과나 재활의학과에 가셔서 도움을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정형외과에 내원하시어 현재 정확한 변형의 정도를 측정해 보시고, 물리치료 및 필요시 보조기 착용까지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허리가 휘고 거북목이 심하다면 운동이나 재활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검사를 통한 확인 후 도수치료 등등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정형외과등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자세교정과 허리 및 등의 신전근 강화운동이 필요합니다.

    운동치료로를 통해 교정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