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교육과정의 목표는 과거시험에 합격해서 관직에 나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고 1차 과거시험이라고 볼 수 있는 소과에 합격한 후 대과는 다시 초시, 복시, 전시로 나뉜다고 하는데 각 과정에서는 어떤 것을 시험쳤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