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콩국수
콩국수

향후 영화관 산업이 어떻게 회복될까요?

영화관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데요. 넷플릭스와 같은 ott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영화관 산업이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영화관 산업이 어떻게 회복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앞으로는 더욱 더 영화관 산업이 어려울 것이고 회복하기 힘들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이미 소비자들은 OTT 등으로 미디어를 소비하기 때문에

    앞으로는 영화관이 더욱 축소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영화관 산업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영화관의 티켓가격이 내려야 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집에서 편히 볼 수 있음에도 굳이 비싼 돈을 내며 영화관에 가는 이점이 매우 낮은 것이 문제라 생각합니다.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영화산업이 다시 부흥하기는 어려울 것이라 봅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에 영화계 부진으로 인해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가 합병한것으로 그만큼 업황이 최악이라고 판단됩니다. OTT의 영향이 큰데 가장 큰 문제는 티켓 가격입니다. 너무 비싼 가격으로 인해 굳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생각을 하는 사람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그리고 영화 컨텐츠들의 퀄리티도 많이 하락하여서 OTT 영화 보는게 차라리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티켓 가격 하락과 컨텐츠의 퀄리티 회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영화 산업이 

    회복되기 위해서는 단순 영화 상영이 아닌 체험 위주의 상영관으로 변경되어 복합 문화공간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콘서트나 스포츠 생중계 등의 콘텐츠 다양화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영화관 산업이 긍정적 측면으로 수익성을 거둘것이라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코로나 이후로 영화관 관람비가 큰 상승을 하였고, 이에 대한 대체제로 ott 등이 많이 보급되고 있기 떄문입니다. 영화관 1편을 보는 것이 약 10000원이 드는 것이 ott를 보면 한달내내 10000원이면 되므로 가족들이 굳이 영화관을 가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라고 보이기 떄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영화관 사업은 침체에 빠져 있습니다. 관람객 수는 2019년 코로나19 판데믹 이전의 50% 수준에 머물러 있습니다. 극장 시장 규모도 2024년 기준 약6% 감소했고 경쟁 서비스인 OTT 시장은 같은 기간 11% 급성장했습니다.

    영화 산업의 어려움은 최근 2, 3위 업체인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의 합병 논의에서 알 수 있습니다. 향후 오프라인 극장이 주는 경험 차별화, 콘텐츠 다변화과 생존과 성장에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주요 극장 업체들이 투자를 하여 OTT로부터 관객을 빼앗아 오거나 극장만의 추가 수요를 창출하지 않으면 극장 산업의 사양화는 더욱 가속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차별화 전략을 잘 해야 합니다.

    영화관이 코로나19를 겪으면서 OTT에게 영화플랫폼을 내주었으며 현재도 영화관이 운영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최근에 팝콘 배달 서비스나 영화들과 협업한 굿즈 등의 판매로 수익성이 개선하고 있으나 아직은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영화관의 메리트를 줄 수 있어 관객을 끌수 있는 어떤 전략이 필요합니다.

    가령 식사도 곁들일수 있거나, 음주도 허용하는등의 전략도 하나의 메리트일수 있습니다.

    여러 방법으로 관객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영화 산업을 되살리기 위해서 먼저, 영화관은 비싸다는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영화 관람비를 인하하고, 관객들이 다시 극장을 찾도록 관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OTT와의 협업, 다양한 장르의 시도, 그리고 관객의 취향을 반영한 콘텐츠 제작이 수반되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