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화학공학 이미지
화학공학학문
반듯한카멜레온95
반듯한카멜레온9522.11.13

폐수처리과정에서 질산화가 안되면 어텋게해야합니까

폐수처리과정에서 질산화가 안되면 과학적으로 어떤현상이 발생하는지 또 질산화가 잘되게 하려면 어떤 것을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주한 과학전문가입니다.

    폐수처리과정 중 생물학적 질소처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기질소 → NH4-N(암모니아성 질소) → NO2-N(아질산성 질소) → NO3-N(질산성 질소) → N2(질소가스)

    질산화 : 자연계의 질소는 유기질소, 무기질소, 질소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유기질소 화합물은 생물학적 분해에 의하여 암모니아 형태로 전환되며, 암모니아는 질산화를 통해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게 됩니다.

    탈질산화 : 무산소 조건에서 질산성 질소는 질소가스로 환원되어 질소가 제거되게 됩니다.

    질산화 반응은 NH4-N을 NO2-N으로 전환하는 1단계 반응/ NO2-N을 NO3-N로 전환하는 2단계 반응으로 구성되며, 1g의 NH3-N을 산화시키기 위해서는 4.6g의 산소가 필요하며 7.1g의 알칼리도가 필요합니다.

    질산화가 진행되지 않으면 암모니아가 질산성 질소로 전환되지 않아 질소가스로 질소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폐수처리시설의 질소제거율이 낮아지게 됩니다.

    질산화 미생물의 영향인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온도 : 질산화 미생물의 성장 온도는 13℃ 이상에서 가능함

    2.pH와 알칼리도 : 질산화 미생물의 최적 pH는 7.5~8.6이며, 질산화 과정에서 알칼리도가 소모되므로 반응조 알칼리도는 최저 50㎎/ℓ 이상으로 유지

    3.용존산소 : 용존산소 0.5㎎/ℓ 이하에서는 질산화율이 현저하게 감소함.

    4.SRT : 질산화 미생물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긴 SRT필요함. (최소 7일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