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09

일제 강점기 만민공동회의 등장배경과 역할은 무엇인가요?

1890년대 후반에 독립협회가 개최한것으로 잘 알려진 '만민공동회'가 있는데요. 이 대중집회는 어떠한 이유로 만들어지게 되었고 그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0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민공동회는 1898년 열강의 이권 침탈에 대항하여 자주 독립의 수호와 자유 민권의 신장을 위해 조직, 개최되었던 민중 대회입니다.

    첫 대회는 독립협회가 러시아의 국권침탈 시도를 막기 위해 조직했지만 점차 민중들의 자발적인 운동으로 발전해갔습니다. 고종이 독립협회를 불법화하고 약속한 개혁안을 무산시키자 11월 5일부터는 42일간의 철야시위가 이어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만민공동회는 독립협회에서 주관하는 집회로, ‘시민의 장’의 역할을 하는 곳이었습니다. 강연회에 참석한 사람들은 다양했으며 만민공동회에는 대신들뿐만 아니라 지식인, 학생 등 다양한 사회계층이 참석하였습니다. 특히 백정 출신인 박성춘이 개막 연설을 하는 등, 조선 대에 천대 받던 백정까지 참석하여 소외된 계층도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있었던 사회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듣는 장 이였습니다.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안건이 상정되고 회의 결의 사항을 집행하는 등 점차 민주적이고 독자적인 민중 운동으로 성장해 나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