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우리나라자동차산업은 얼마나 타격을 입었나요?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우리나라 자동차회사는 현대자동차등이 있는데요. 이런회사들은 관세정책으로 얼마나 피해를 보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고율 관세정책에 따라 기존 무관세로 통관이 이루어지던 물품이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이에 대해 관세가 낮아졌다고 하더라도 어느정도의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여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도 부과되기 때문에 그 타격은 더 심해졌으며 기업들은 미국내 생산 확대와 동시에 북미시장 대응 전략 재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현대 및 기아자동차의 경우 미국으로 많은 자동차를 수출하는데 그동안 한미FTA를 적용하여 관세가 면제되어 막대한 흑자를 누리고 있었습니다. 다만, 트럼프가 시행하는 상호관세 등으로 인하여 25%가 부과되었다가 합의로 15%로 내려갔지만 관세 부담액만 2024년도 수출물량 등을 고려했을때 약 5조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결국 이 금액과 관련된 비용까지 수반하여 이익이 줄어든다고 참고하시면 되며, 이로인해 해외생산을 늘리는 등 보이지 않는 피해까지 합친다면 더 커진다고 봐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일단 우리나라가 미국으로 수출할때의 자동차 관세율은 0%였습니다. 그러나 이번 관세전쟁으로 인하여 FTA를 적용받는 경우 15%, FTA를 적용받지 못하는 경우 17.5%로 관세율이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2분기 기준으로 이미 현대, 기아는 약 1조 4천억원에 해당하는 관세를 부담하였다는 통계가 있기에 이러한 구조에 따라 미국내 판매가격은 상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가격 상승에 따라 매출 부진, 관세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등을 토대로 현대, 기아차의 경우 매출에 큰 타격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일단 올해가 끝나야지 정확하게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현장에서 보면 관세 몇 퍼센트 오른 것 같아도 그게 그대로 수익률에 영향을 줍니다. 미국은 우리나라 자동차에 완성차보다는 부품 쪽으로 관세를 건드렸다는 분석이 많은데요. 조립라인에 쓰이는 주요 부품이 비싸지면 결국 현지 공장 생산비가 오르게 됩니다. 특히 현대차나 기아처럼 미국 현지에서 조립하는 비중이 큰 회사들은 납품단가 재조정 압박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예전에는 무관세 상태에서 가격을 맞출 수 있었는데 지금은 환율이나 물류비 같은 외부 요인까지 겹치면 마진이 훅 깎입니다. 또 전기차 보조금 배제 이슈처럼 비관세 장벽도 같이 튀어나오니 복합적으로 얽히고 있습니다. 그냥 관세율 숫자 하나만 보면 안 되는 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