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자비로운제비172
자비로운제비17220.12.27

의대에서 전공을 정할 때는 예과 2년이 끝나고 정하는 건가요?

평소 의학에 관심이 많고 수의학과에 대해 찾아보다가 일반 의사는 이비인후과, 흉부외과, 일반외과 등등.. 여러가지 많은 과가 있잖아요 예과 2년이 끝나면 모두 다 똑같은 내용을 듣는게 아닐 것 같아서 궁금해서 질문 해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예과2년 본과4년을 마치고 인턴을 하게됩니다.

    예과 2년을 마치고나서 본과 4년동안은 각 과의 전반적인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인턴을 마친 이후에 내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등 세부 전공을 선택하게 되고 선택후에 4년의 수련과정을 거쳐 전문의 시험을 보게되면 전문의가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똑같은 내용을 듣게 됩니다.

    예과 2학년이 끝나고 본과1,2,3,4학년 까지는 동일한 커리큘럼을 진행하게 되고,

    그뒤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하게 되는데, 인턴 과정 후에 레지던트과정에 들어갈때 전공을 정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대는 예과2년, 본과4년의 과정을 거치고, 국가고시를 합격하면 의사면허가 나오게 됩니다.

    그 후 학교에 남아 인턴을 거치고, 그 후 원하는 과에 지원을 하여 합격하면 레지던트가 되고, 이때부터 전공의가 되는 것입니다.

    예과 2년이 끝난다고 해서 전공이 정해지는게 아니고, 전공의가 되면서 전공이 정해집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예과 2학년은 기초적인 교양 수업 및 본과 과정을 접하기 위한 예비과정입니다. 예과 과정이 끝난다고 해서 전공을 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과 4년 이후에 국가고시 통과 후 인턴 과정을 거쳐 전문의 선발 과정에서 과를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예과 2년이 끝난 후에는 모두 똑같은 내용을 학습하게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과대학에 진학을 목표로 학업에 집중 하시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의과대학에서 6년과정을 거친 이후 의사국가고시를 응시하게 되며, 여기서 합격을 하면 (일반)의사가 될 수 있습니다. 6년은 예과 2년과 본과 4년동안은 공통과정으로 전반적인 의학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이후 대학병원에서 인턴 1년, 특정 전공과목을 선택후 4년, (남자의 경우 군복무 3년)을 하시고 나면 전문의가 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꿈을 이루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과대학에 관심이 많으신가보네요. 예과 2년은 교양과목을 배우고 본과4년은 앞서 문의주신 여러 과목을 모두 배우고 실습을 한답니다. 졸업을 하고 1년 인턴을 마치고 나서 레지던트가 될때 전문과목을 선택하는 것이지요. 학생때는 모든 과목을 골고루 공부한답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