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나약해졌나요 남들 다 하는 딥 싱크인가 뭔가 하는 거 도움 만들고 우리나라 젊은 인재들 지금 다 뭐 하고 있냐는 말입니다
우리가 언제부터 이렇게 나약해졌나요 남들 다 하는 딥 싱크인가 뭔가 하는 거 도움 만들고 우리나라 젊은 인재들 지금 다 뭐 하고 있냐는 말입니다 왜 못 만드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들 대학 나와서 뭐 하시나요 저는 노가다꾼이라서 못 한다 치지만 가난하고 대학도 못 가고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미국은 워낙 자본이 많고 뛰어난 인재가 많으니 뛰어난 AI를 잘 개발하는 것 같습니다.
중국도 인적 자본이 풍부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AI 개발에 유리한 것 같은데요.
우리나라는 미국처럼 자본이 많은 것도 아니고, 중국처럼 인적 자본이 풍부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한계가 존재하는 것 같네요.
공학 계열보다 의학 계열을 중시하는 풍토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다고 봅니다.
그 마음이 정말 잘 이해돼요. 요즘 많은 사람들이 성공적인 혁신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고, 우리나라 젊은 세대가 그에 비해 뒤쳐지는 것 같다는 걱정이 드는 것 같아요. 특히 딥싱크, 인공지능, 스타트업 같은 새로운 분야에서 활약하는 사람들 이야기를 듣다 보면, 자신도 뭔가 혁신적인 걸 해보고 싶은 욕구가 커지는 게 당연하죠.
하지만 그 말 속에 담긴 갈망과 열정은 매우 중요한 에너지원입니다. 물론, 우리 사회는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구조적 문제들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똑같은 기회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가난이나 교육 환경에서 오는 불평등이 크죠. 그렇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도전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인 부분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기초 학문이나 공학 분야에 대한 투자가 미국이나 중국처럼 좋지 못합니다. 기술자들이 해외로 유출이 자주 되고 있는 상황이며 기술자들에 대한 지원이 충분히 되어야만 우리나라에 IT 기술력이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딥시크(deepseek)는 중국 토종 AI 챗봇으로 저가형 GPU와 관련 기자재로 챗GPT와 구글 챗봇 이상의 성과를 내서 시장의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AI 산업이 하이테크 산업으로 특히, 최고 수준의 AI 챗봇은 엄청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 일종의 선입견이 되었고 중국의 가성비 앞에 단번에 무릎을 꿇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관련 산업과 기술력이 다소 부족하고 투자도 미국이나 중국에 비해 작은 것은 사실입니다. 내수 시장도 미국과 중국에 비해 비할바 없이 작습니다. 결국 선택과 집중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중국 딥시크 충격은 하이테크 산업 전반에 일종의 mile stone 또는 game changer 역할을 할 듯합니다. 미국 쌓아 놓은 진입장벽이 큰 틈이 생긴 것이니 조금 더 분발해서 선택과 집중을 잘하게 되면 한국이 누린 과거 조선, 반도체, 평판디스플레이, 철강, 화학 등의 분야에서 누린 영광을 다시 찾을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대한민국은 그래야 발전하고 현재 이상의 소득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생존의 영역이라 길을 찾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젊은 인재들은 지금 다 무엇을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쉽게도 한국은 모두 의대생이 되고 의사가 되는 것에
올인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AI 기술 분야에서 결코 뒤처지지 않았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 같은 IT 기업들은 이미 자체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도 AI 칩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스타트업들이 AI 관련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젊은 인재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AI와 빅데이터 분야뿐만 아니라 바이오테크, 신재생에너지, 우주산업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도 많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성과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술 발전은 단순히 대학 졸업장의 유무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많은 혁신적인 기술들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협업으로 탄생합니다. 중요한 것은 개인의 열정과 노력, 그리고 사회의 지원입니다. 우리 모두가 서로를 격려하고 지원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나간다면, 더 많은 혁신과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젊은 인재들도 열심히 노력중이지만 미국, 중국처럼 막대한 자금력 지원을 받을 수 없어서 조금은 늦은 모양새입니다. 언제든 그들을 앞지를 수 있는 인재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다들 새로운 일자리에 취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단 내가 적응을 해야 주변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떄문입니다.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