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옹골진박쥐51
옹골진박쥐5124.03.27

수온이 낮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커지고 기체의 용해도가 커지는 이유

수온이 낮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커지는 이유가 뭘까요??

기체의 용해도가 커질 수 있는 조건 중에 수온이 낮아야 기체가 잘 녹을 수 있다하던데 그 이유가 뭘까요

수온이 높으면 염분이든 기체든 증발해서 날아가버리기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분자 운동이 활발해지므로 용매에 녹아 있지 못하고 공기 중으로 빠져나갑니다. 그러므로 기체의 분자 운동이 빨라지지 않도록 온도를 낮추거나, 기체 입자가 공기 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압력을 높이면 용해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온이 낮을수록 해수의 밀도가 커지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서로 가까이 모여들기 때문입니다

    기체의 용해도가 커질 수 있는 조건 중에 수온이 낮아야 기체가 잘 녹을 수 있는 이유는 기체 분자들이 물 분자들과 상호작용하기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수온이 낮으면 물 분자들이 더 밀집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 분자들이 물 분자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아지게 됩니다.

    수온이 높으면 염분이든 기체든 증발해서 날아가는 것은 맞습니다. 높은 수온은 물 분자들의 열적 운동을 촉진시켜 물 분자들이 더 빠르게 이동하고, 이로 인해 염분이든 기체든 증발하거나 날아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