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부터 갑자기 떼쓰기가 생겼어요
떼쓰기 시작하면 30~40분가량을 울고불고 물건 집어던지고 소리지르고 합니다
달래도 소용없고 관심 안 가져주다가 나중에 지쳐서 울음을 그칩니다
새벽에 자다가도 일어나서 떼쓰기도 하고요
어린이집에서 요새 약간 보채고 서운해하는 면이 생겼다고 하네요
지금 둘째 임신중인데 혹시 아이가 곧이면 동생 태어날줄 알고 질투해서 그러는건가요?
아이의 떼 쓰는 행동으로 걱정이 되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이 어떠한지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엄마가 임신을 한 상황이라면 아이 또한 심리적으로 불안해 질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울고불고 물건을 집어던지고 소리를 지르는 이유는 스트레스 영향이 가장 큽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는 동생이 태어날 줄 알고 질투나서 울고불고 떼를 부리고 물건을 던진다 라고 하긴 보담도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말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 표현을 떼를 부리고 울고불고 물건을 던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자신의 감정 표현을 울고불고 떼를 부리며 물건을 던지는 행위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바로 잡아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떼를 부리며 울고불고 물건을 던지는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앉힌 후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한 어조로 떼를 부리며 울고불고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떼를 부리며 울고불고 물건을 던지면 안되는지 그 이유를 아이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세요,
아이의 행동은 한 번에 나아지지 않기 때문에 자주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욕구를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떼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떼쓰기 보다는 다른 방법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
말씀 하신 대로 둘째의 임신 때문에 본인이 조금 더 관심을 받기 위해 떼를 쓰는 거 일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둘째 임신을 본능적으로 안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는 성장을 하면서 떼가 점점 더 늘어나는데 이는 자기가 하고 싶은것을 하려고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둘째가 생긴다면 더욱 더 심해지는것이 맞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이에게는 있는대로 둘째가 생겼다고 이야기를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이해를 시키고 설득을 해줘야 아이가 삐뚤어 지는것을 막을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직 태어나지 않은 동생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받을 정도까진 아닐 겁니다. 보통의 그 정도 되는 아이들은 너무 앞서서 생각할 수는 없기때문이죠. 다만, 아직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는 어른들이 생각하는것보다 훨씬 자기표현이 상당히 서투릅니다. 이렇게 심하게 고집을 부리는 것은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아이의 마음을 달래보시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대화를 통해 들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때로는 이처럼 심하게 떼를 쓰는 경우 무시하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갑자기 떼쓰기가 생긴다면, 아이의 감정이나 필요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일관된 규칙을 유지하고, 떼쓰기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하며, 필요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떼를 쓰는 시기가 오기도 합니다. 이때 부모님이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이러한 떼쓰기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지만,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아이의 정서 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주며,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