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7

아이 백일과 돌잔치 둘 다 챙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는 보통 아이 백일 잔치, 돌잔치 이렇게 두 개 다 챙기는 문화인가요? 보통 백일보다는 돌잔치에 좀 힘을 주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1.07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백일, 돌잔치를 둘 다 챙겨야 하는지가 궁금하군요.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백일과 돌잔치를 챙겨줍니다. 요즘은 백일은 가족끼리 약소하게 하고 돌잔치를 좀 크게 진행하는 추세입니다. 출산율이 줄어들고 가정마다 아이 수가 적다보니 200일, 300일, 500일, 1000일을 챙겨서 축하해주기도 하더라고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백일 잔치는 가족들 하고만 단촐하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돌 잔치는 가족 및 일가 친척 또는 친구들도 함께 와서 축하를 해주기도 하는 데,

    요즈음엔 가족들 하고만 식사 하는 등 간단하게 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해 주신데로 백일과 돌잔치를 모두하며 돌잔치를 보통 성대하게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거에는 백일까지 신생아의 생존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고 100일 넘어가면 아이의 생존률이 높기 때문에 100일 잔치가 더 중요햇으나 최근에는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과거와 달리 100일 생존률이 많이 올라갔습니다. 그래서 생일 개념으로 돌 잔치가 더 의미가 있어졌죠.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각 가정마다 부모님의 성향마다 다릅니다. 백일은 보통 집에서 가족들끼리 챙기는

    경우가 많고 돌잔치의 경우 첫째만을 챙기는 가정이 있습니다.

    요즘은 돌잔치도 가족들끼리만 챙기는 경우도 있으니 가족들이 상의하에 정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백일 잔치는 간소하게 하고

    돌잔치는 지인들을 초대하거나

    직계가족과 일부 친척들을 초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두가지다 크게 하거나 두가지다 간소하게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백일보다는 돌잔치에 주력을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돌잔치도 가족끼리 식사로 대체하는 등

    이러한 경조사문화는 많이 퇴색되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