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수요일
수요일

아이들은 왜 안고 있어야 잠을 잘 잘까요?

신생아 아이들은 잠을 잘때 안아서 재울때가 많은데

아이들이 누워서 혼자서 잠을 이룰수없는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기가 누워서 잠을 못자는 이유는

    안정감이 부족해서 입니다. 아기는 불안함을 느끼게 되면 잠을 자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또한 부모님 품 속은 안정감도 느끼지만 동시에 편안함도 느낍니다.

    우리 어른들도 잠자리가 편하지 못하면 잠을 잘 이루지 못하듯 아기 역시도 편안함이 제공되지 않으면 잠을 자는 것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안고 있어야 잠을 잘 자는 이유는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기 떄문입니다. 부모의 체온과 심장박동 소리는 아기에게 친밀감을 주고 불안감을 줄여 깊은 수면을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아직 자기 스스로의 감정을 조절하고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신경계가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부모의 품에서 더 쉽게 잠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은 부모와의 신체적 접촉을 통해 안정감을 느낍니다. 부모의 따뜻한 체온과 심장 박동 소리는 아기에게 안정을 주어 잠이 잘 오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또 자신이 보호받고 있다고 느낄 때 편안하게 잠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신생아들의 경우에는 엄마의 뱃속에서 10개월이 품어지다가 태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뱃속에 있을때에는 부모님의 자궁소리과 심장소리와 같은 것을 들으며 아주 안전정인 느낌을 받았을 겁니다. 하지만 태어나면서 이러한 것을 받을 수 없어서 계속해서 울텐데 엄마가 안아 줌으로써 심장소리와 자궁소리 그리고 부모님의 채취를 느끼면서 안정감을 느껴 아이가 울지 않는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기들이 심리적으로 편안함을 느껴서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만 아주 어릴때부터 누운채로 자는 습관을 잘 들이게 되면 누워서도 충분히 잠을 잘 잘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안아주는 신체 접촉을 통해서 안정감을 느낌니다.

    그리고 안정감을 통해서 편안함을 느끼고 쉽게 잠을 잘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안아 줄 때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안겨있으면 따뜻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갖게되어 잠이 잘 드는거 같습니다 특히 엄마품에 안겨있으면 편안함을 갖는거 같네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부모의 품에서 안정감을 느끼고, 체온과 심장 박동소리가 편안함을 줍니다. 또한 태아 시절의 기억이 남아 있어 안고 자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생아는 부모의 체온과 심장 박동 소리로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에 안고 자는 것을 좋아합니다. 또한, 혼자 누워서 자는 것보다 부모의 품에서 더 안전하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