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중국이 EU산 돼지고기에 최대 62% 관세, 식품 무역 흐름 바뀔까요

중국이 덤핑 조사 결과를 근거로 EU산 돼지고기에 임시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는데요 유럽산 수출길이 막히면 다른 국가가 빈자리를 채울 가능성도 큽니다 우리 식품 기업에는 어떤 기회나 위험이 생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이렇게 고율의 반덤핑 관세를 걸면 시장 판도는 단기간에 크게 흔들립니다. 유럽산 돼지고기가 밀려나면 남미나 동남아 업체가 바로 틈새를 메우려 할 것이고 우리나라 기업도 수출선 다변화라는 관점에서 기회를 잡을 여지가 있습니다. 다만 중국은 위생검역 절차를 엄격히 적용하고 인증 절차도 까다롭게 관리하기 때문에 단순히 수출길이 열렸다고 해서 바로 이익이 되는 구조는 아닙니다. 또 국내 소비자 물가에도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어 안정적인 조달망 확보가 더 중요해질 수 있습니다. 제 견해로는 우리 식품 기업이 기회를 활용하려면 가격 경쟁력보다 위생 안정성이나 브랜드 신뢰도를 먼저 확보하는 전략이 실효성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중국이 EU산 돼지고기에 최대 62%의 관세를 때리면 유럽 업체 입장에서는 사실상 가격 경쟁력이 무너지는 거라 수출길이 크게 좁아질 수 있습니다. 그 공백을 미국, 브라질, 심지어 한국 같은 다른 공급국이 노릴 여지가 있는데 우리 기업도 위생검역 조건 충족이나 물류비 부담만 맞추면 수출 기회가 커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중국 내 공급 불안으로 가격 변동성이 커지고, 국내 시장에도 수입 압력이 들어올 수 있어 기회와 위험이 동시에 작용하는 국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어느정도의 기회는 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돼지고기는 타 국가대비 가격이 비싸기에 이에 대한 수혜를 입을 수 있을 지 의문입니다. 실질적으로 EU는 돼지고기 소비가 크지않기에 이에 대한 소비가 큰 중국으로 수출을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관세를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돼지고기가 저렴하다면 이에 대하여 중국 바이어와 충분히 협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