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비장한땅돼지7
비장한땅돼지719.07.05

이더리움 채굴보상은 어떻게 이루어 지나요?

블록체인 공부를 시작하는 비전공자입니다.

공부를 하다보니 채굴과 보상에 대한 개념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이더리움은 매 15초 마다 블록이 생성되고 보상으로 2ETH를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채굴자가 받을 수 있는 보상의 종류가 블록생성에 대한 보상 2ETH + 트랜잭션 수수료 GAS 이렇게 2가지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블록의 생성자가 되기 위해서는 수학문제 NONCE 값을 찾아야 되고 이를 가장 먼저 찾은 노드가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 가지며, 이에 대한 보상으로 2 ETH를 받는다.

또한 블록을 생성하면서 트랜잭션을 수행해주므로 추가로 GAS를 인센티브로 받게 된다.

이때 블록생성자인 1개의 노드가 모든 보상을 다 가져가는 것인가요?

나머지 노드들은 만약 해당 블록에 대해는 아무런 보상이 없고 다시 다음 블록에서 블록생성자가 되기 위해서 수학문제를 풀어야되는 것인가요?

그런데 실제 채굴을 하시는 분들의 자료를 보면 채굴을 통한 보상이 0.000113 ETH 등으로 확인이 되는데 이것은 블록생성자가 아니더라도 GAS비의 경우는 모든 노드들이 함께 공유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채굴과 관련하여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이더리움 채굴의 경우 크게 블록 생성 보상, 트랜젝션 처리 가스비, 엉클 블록 생성 보상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는 채굴에서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연산 값을 성공적으로 계산해 낸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 생성 보상을 가지는 것이 맞겠습니다.

    하지만 갈수록 채굴 보상은 줄어들고 채굴을 위한 전체 해시레이트와 난이도는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 단위 솔로 마이닝이나, 소규모 채굴업자들은 경쟁력이 없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은 채굴 풀(Mining Pool)에 자신의 해시 파워를 제공하여 함께 마이닝을 하고 전체 풀의 해시 파워 중 자신이 기여한 해시 파워만큼의 채굴 보상, 트랜젝션 처리 가스비, 엉클 블록 생성 보상 등을 받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채굴을 통한 보상이 0.000113 ETH 등으로 확인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끝으로 이더리움의 경우는 앞으로 최소 32ETH를 스테이킹할 경우 검증 노드로 블록을 검증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므로 대규모 채굴 풀들에 채굴 보상이 집중되는 문제가 많이 완화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