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yybb
yybb22.07.16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중 어떤게 더 안좋은가요?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한 개념은 적당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둘다 경제 생태계에 좋지않겠지만, 굳이 따지자면 어떤게 나라 경제에 안좋은가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더 안좋습니다. 디플레이션은 돈의 가치가 오르는 현상인데, 이렇게 되면 경제 주체가 '소비'를 하지 않게 되어 내수가 침체되고, 원화 강세로 인해 수출 경쟁력도 떨어져 사실상 GDP 성장을 일구는데 있어서 인플레이션보다 안 좋은 점이 훨씬 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디플레이션이 좋지 않습니다. 디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뜻하니까요 단, 현재 상황처럼 7~8%의 인플레이션도 문제가 됩니다 경제가 안정적인 상태는 1~2%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6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더 안좋다고 생각합니다.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상품의 가치가 계속해서 떨어지면 사람들은 돈을 쓰는 것을 주저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현상입니다. 특히 이런 현상은 생필품보다는 집이나 자동차같은 고가의 상품일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소비가 침체되면, 위에 설명한 것과 같이 기업도 생산을 줄이고 현금을 보유하려고 합니다. 지금 당장 생산에 투자해봐야 잘 팔리지도 않으며, 상품의 가격이 계속 떨어지면 기업이윤도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시스템상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과 같은 경우 경기가 계속 침체되고

    자금이 유통되지 않는 등 더 부작용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둘다 경제적인 현상문제로 서로 상반된경제개념이라 어느쪽이 좋다라는것은 없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