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가입할려고 하는데 지금 괜찮을까요?
적금 단기 1년짜리 가입할려고 합니다.
큰돈은 아닌데..계속 예금 금리가 올라가서 좀더 기다려야하는지
더이상 예금 금리가 오르지 않을 것 같은지 조언 부탁드립ㄴ디ㅏ.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은 2차례 남았고 우리나라는 한차례 더 남았는데 올해까지는 금리인상은 지속될것으로 보이면 단기로 운영하는게 좋을듯보이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일 빅스텝이 단행되었고 올해 1차례 금리결정이 남아있고
더 금리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내년 상반기에도 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은 등
적금을 하시더라도 만기를 짧게 가져가시는 등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예측하기힘들지만
적금을 계획한 지금 시작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부리시에 이자율도 중요하지만 기간도 중요하기에 빨리시작할수록유리하지않을까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연준의 금리 인상은 11월초 FOMC 회의 때도 이어질 것 같습니다. 현재 미국 내부에서도 미연준의 고금리 정책에 반발하고 있고 유로존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미국의 실업률이 3.5% 수준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물가는 높은 수준이라 금리 인상의 명분은 충분합니다.
한은도 오늘 0.5%의 빅스텝급 금리 인상을 단행했는데 아직도 금리가 3%이고 미국(3.25%) 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자본 유출과 강달러를 고려하면 한국은행도 점진적인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앞서 말씀 드린 대로 유로존과 신흥국의 반발을 사고 있으나 근래는 자국 이기주의가 팽배해서 글로벌 경제를 위해서 미국이 희생을 감수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