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3.05.12

3.1운동의 배경이 된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라는 것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근현대사에서 3.1운동은 빼놓을 수 없는 역사의 한부분인데 3.1운동의 배경이 된 것이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라 합니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어서

3.1운동의 도화선이 될 수 있었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족 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2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별 민족이 독자적인 국가를 형성하고 자신의 정부를 선택할 수 있다는 사상으로, 이것은 정치적 원리의 하나로서 일찍이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 운동에서 표방된 민족주의 사상에서 부수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사상이 국제 정치상 중요해진 것은 1918년에 윌슨이 ‘14개 평화 조항’을 제1차 세계 대전 뒤의 중부 및 동부 유럽 제국의 독립과 새로운 국경 결정의 일반적 기준으로 삼은 때부터이다. 언어 · 종교 문제 등이 얽혀 내용은 복잡하지만, 현재도 제3세계에서는 민족적 억압에 대한 저항 원리로 적극적인 뜻을 지닌다.

    [네이버 지식백과] 민족 자결주의 [民族自決主義]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2002. 9. 25., 강상원)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족자결주의는 1차 세계대전 전후처리 시기, 미국 대통령 윌슨이 파리강화회의에 제출한 <14개조> 중 하나입니다. “피지배민족에 자유롭고 공평하고 동등하게 자신들의 정치적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자결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용은 일반론 5개조, 국제연맹안을 포함한 특수문제 9개조로 되어 있고, 약소민족의 독립 및 복귀와 관련된 내용이 7~8개 항이 기재되어, 상당히 구체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윌슨은 승전국, 패전국 모두 이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해, 승전국 측은 우려를 표했습니다. 국제연맹 결성 이후 미국은 서구열강의 군비축소, 식민지 독립문제에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식민지 자본주의로 성장한 서유럽 국가를 견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습니다. 미국의 식민지 점유율이 극히 낮았고, 유럽열강은 높았음을 볼 때 민족자결주의는 정치적 배경이 저변에 깔려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은 승전국과 협의해, 민족자결주의 원칙을 '패전국의 피지배 민족'에 한정하여 결정합니다. 이에띠라 패전국 식민지는 대다수 독립을 쟁취했고, 이 결과 패전국은 영토를 상당수 잃게 됩니다. 모든 약소민족에 적용되지 않았고, 잠재적인 적대국을 무력화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집니다. 그럼에도 민족자결주의는 민족의 운명은 자기 손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원칙으로, 피지배 민족의 독립 정당성과 명분에 사상적 근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은 유럽 중심의 제국주의 국가들이 힘의 팽창과정에서 제국주의 집단체제간의 충돌로 일어났다. 이들 제국주의 강대국들에게는 ‘힘의 논리’에 의해 약소국을 점령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었고, 강대국들은 그 점령을 서로 묵인해주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였다. 한편, 강대국들간의 충돌에 대비하여 강대국들은 이해관계가 근접한 국가간에 집단체제(협상국, 동맹국)를 형성하여 상대세력을 위협하기도 하고 견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불안한 상황이 결국 집단간의 전쟁(세계대전)으로 폭발한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은 독일 중심의 동맹국측 패배로 종전되었고(1918. 11. 11), 승전국측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새로운 국제질서를 회복해야하는 책무를 갖게 되었다. 전후 처리의 중심은 승전국인 영국·프랑스·미국이 되었고, 그 대표로는 영국의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David Lloyd George, 재임 1917~1922) 수상, 프랑스의 클레망소(Georges Clemenceau, 재임 1917~1920) 대통령, 미국의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재임 1913~1921) 대통령이었다. 이탈리아의 비토리오 오를란도(Vittorio Emanuele Orlando) 수상은 처음에는 승전국 대표로 참석하였으나, 후에 국내문제로 참석하지 않았다. 각국 대표들은 파리에 모여 평화회의를 장기간 열었고, 학자적 자질을 가진 미국의 윌슨 대통령이 국회에 제출한 연두교서에서 밝힌 <14개조평화원칙(Fourteen Points)>가 그 정신이나 내용이 승전국이나 패전국측 모두에게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수용했다.

    윌슨의 <14개조평화원칙>의 주요 골자는 (1) 민족자결주의, (2) 비밀외교 타파와 공해(共海)자유의 강조, (3) 법에 의한 통치 등 세가지로 요약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일반론 5개조, 국제연맹안을 포함한 특수문제 9개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가운데 약소민족(또는 점령지역)의 독립 및 복귀와 관련된 내용이 7~8개 항에 달할 정도로 윌슨의 <14개조평화원칙>는 민족자결주의를 강조하고 있었다. 민족자결주의의 기본 정신은 '민족자결의 원칙'(Principle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이 반영된 것이었다. 즉, “피지배민족(식민지나 점령지역)에게 자유롭고 공평하고 동등하게 자신들의 정치적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자결권(自決權)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후 유럽에서의 국경·영토 조정에 많이 적용하였다. 사실 이 민족자결의 원칙의 개념은 정치적 원리의 하나로서, 일찍이 프랑스 혁명과 미국 독립운동에서 표방된 민족주의 사상에서 부수적으로 발전된 것이었다. 이러한 원칙을 제 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인 연합국 측에서 평화적인 전후처리를 목적으로 받아들인 것이다. 그 결과 러시아의 영토였던 발트 해 연안 지역과 패전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영토의 상당 부분이 여러 신생 국가로 나누어졌다.

    민족자결주의의 발표는 당시 강대국의 지배를 받던 전세계의 수많은 약소민족들에게 커다란 희망과 용기를 불러일으켰다. 이에 따라 민족자결주의의 정신은 전 세계로 확산되어, 식민지 상태의 약소민족들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기본권과 정당성을 주장하는데 사상적 근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수 많은 민족들이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한국의 3·1운동도 그러한 세계적 추세와 정신의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신은 꾸준히 계승되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식민지 민족의 독립에 영향을 주었고, 「국제연합헌장」, 인도차이나 문제에 관한 「제네바협정」(1954), 「식민지독립선언」(1960 국제연합총회) 등에 포함되어, 민족자결주의는 오늘날 모든 민족이 스스로 정치적 선택을 결정짓는 국제법상의 하나의 확고한 원칙이 되었다.

    그러나 윌슨의 <14개조평화원칙>에서 민족자결주의와 관련된 대부분의 조항은 실제로는 발칸반도 및 동유럽의 패전국 영토에 귀속되어 있던 소수민족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는 전세계의 약소민족에 대한 자결원칙 적용을 의미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제 1차 세계대전의 승전국 세력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광대한 영토를 민족에 따라 여러 국가로 분리해 잠재적인 적대세력을 무력화 하고자 하는 의도가 담긴 것이었다. 따라서 민족자결주의의 정신은 어디까지나 원칙일 뿐, 강대국의 정치적 군사적 힘 앞에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무력하게 존재하는 사례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다.

    출 처 :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6975&cid=40942&categoryId=31645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민족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주장입니다.

    윌슨의 14개조평화원칙의 주요 골자는 1 . 민족자결주의 2. 비밀외요 타파와 공해 자유의 강조, 3. 법에 의한 통치 등 세가지로 요약되며 그 내용은 일반론 5개조, 국제연맹안을 포함한 특수 문제 9개조로 되어있습니다.

    이 가운데 약소민족의 독립 및 복귀와 관련된 내용이 7~8개 항에 달할 정도로 윌슨의 14개조평화원칙은 민족자결주의를 강조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지키던 미국은 독일의 잠수함 공격을 받고 난 후인 1917년 4월 참전을 결정하였습니다. 미국의 참전으로 전세가 연합국의 승리로 굳어져가자 당시 미국의 제28대 대통령 윌슨은 1918년 1월 미국 의회에서 연두 교서를 통해 새로운 전후 질서의 14개조 원칙을 제안하였습니다. 이 원칙에는 비밀 외교의 폐지, 패전국에 대한 무병합⋅무배상 원칙, 그리고 국제 평화 유지 기구인 국제 연맹의 결성 등 다양한 제안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민족 자결주의였습니다. 윌슨이 제안한 민족 자결주의는 각 민족은 자신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이 권리는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당시 식민지나 반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민족들을 크게 고무시켰습니다. 많은 식민지⋅반식민지 국가들의 독립운동가들과 민중들은 민족 자결주의가 자국의 독립을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한국의 독립운동가들도 민족 자결주의에 고무되어 ‘외교독립론’을 통해 한국의 독립이 성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러나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는 패전국인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투르크 제국 등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만 적용되었고, 전승국의 식민지와 점령지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후 처리를 위해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는 연합국이 지배하거나 점령한 아시아 지역의 식민지 문제는 의제로 거론되지도 않았습니다. 일본도 연합국의 일원으로 참전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독립 문제도 논의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