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도도한멧돼지13
도도한멧돼지1324.01.08

심장에 문제가 있으면 초기여도 기본검사에서 바로 나타나나요?

나이
2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제가 한달전에 온몸이 떨릴정도로 심장에 답답함을 느껴서 응급차 타고 응급실에 간적이 있는데요.


그때 기본검사들인 흉부엑스레이, 심전도, 피검사를 해주셨는데 다 정상이 나와서 귀가했었습니다.

선생님이 응급실은 기본검사만 받을 수 있으니, 앞으로 증상이 또 있을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밀검사는 외래진료를 예약하라고 안내해주셔서요.


그래서 이번에 추가검사 받아보려하는데, 그럼 그때 받았던 검사들은 제외하고 받으면 되는걸까요?


즉, 만약 첫 증상 발현때 심장문제였다면 초기였어도 그 검사들에서 비정상으로 뜨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예를 들어 부정맥과 같은 질환은 검사 당시 심전도가 멀쩡했다면 검사결과가 모두 정상이라 보고되지만 24시간 심전도 검사를 받으면 문제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증상이 반복되면 심장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라는 것입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심장에 문제가 있을 때, 초기 단계에서 기본적인 검사들로 문제를 발견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흉부 엑스레이, 심전도(EKG), 피검사는 심장 문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검사들입니다. 이러한 검사들은 심장의 구조적 문제, 리듬 장애, 특정한 심장 질환의 징후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심장 문제가 초기 단계에서 이러한 기본 검사들로 감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심장 문제의 초기 단계에서는 종종 증상이 경미하거나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본 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한다면,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검사: 운동하면서 심장 기능을 평가합니다. 운동 중 심전도와 혈압을 모니터링합니다.

    심장 초음파: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이미지로 보여주며, 심장의 펌프 기능과 판막 상태를 확인합니다.

    홀터 모니터링: 24시간 또는 그 이상 동안 심장 리듬을 연속적으로 기록합니다.

    관상동맥 영상 검사: 심장으로 가는 혈관의 상태를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