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Eungata
Eungata24.03.18

편도염있을때 귀가 아픈데 귀 항생제 투여후 편도염도 완화되는건 어떤 원리인가요?

나이
25
성별
여성

안녕하세요 편도염이 자주있는 편이고 한 번 걸리면 꽤나 오래가는 편인데, 저번에 편도염이 심하면서 동시에 귀가 아파서 귀 항생제 (오플록사신 점이액) 투여후

다음날부터 귀 통증도 편도염도 동시에 괜찮아졌었어요. 혹시 두 가지가 연관이 있을까요? 귀로 들어간 항생제가

편도 건강에도 작용할 수가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편도염과 귀 통증은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도는 목 뒤쪽에 위치하고 귀와 연결되는 유스타키오관과 가까이 있기 때문에, 편도 염증이 귀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귀에 직접 투여한 항생제가 편도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려우나, 귀 감염 해소로 인해 편도 주변 염증이 완화되고 증상이 호전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편도염이 잦다면 이비인후과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편도염과 귀 통증은 서로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중이염과 편도염은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체의 상기도(코와 목)는 귀와 연결된 유스타키오 관(Eustachian tube)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유스타키오 관은 중이(귓속)와 인두(목 뒤쪽)를 연결하는 관으로, 귀의 압력을 조절하고 귀와 목 사이의 분비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편도염이 발생하면 인두와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겨서 이 염증이 유스타키오 관을 통해 중이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중이염이 발생하며, 중이염은 귀의 통증, 압력감, 청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도염이 있을 때 귀가 아픈 것은 중이염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귀에 투여된 항생제(예: 오플록사신 점이액)가 편도염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이유는, 항생제가 귀에 작용하여 중이염을 일으킨 세균을 제거함으로써 유스타키오 관을 통한 염증의 확산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인두와 편도의 염증도 완화되기 때문입니다. 항생제가 직접 편도에 작용한다기보다는, 중이염과 편도염 사이의 연결 고리를 차단하여 전반적인 염증 반응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귀에 투약한 점이액 항생제는 편도염의 치료에 관여하기 어렵습니다. 경구 항생제는 흡수되어 혈액을 타고 편도염을 치료하는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점이액 항생제는 귀에만 국소적으로 작용하므로 편도염을 호전시킬수는 없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귀로 투여한 항생제가 흡수되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고, 또 그 효과가 인접한 부위까지도 퍼진다면 그로 인해서 편도까지도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은 존재하겠습니다. 정확히 그런 상황이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외이도에 도포한 항생제가 편도로 흘러가지는 않습니다

    외이와 내이는 분리되어 있으니까요...

    우연히 시기가 맞아 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