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04

우리나라 IMF는 무엇때문에 발생하였나요?

과거 우리나라 IMF는 무엇때문에 발생하였나요?

궁금합니다. IMF 하면서 전국민들이 집에 있는 금을 모아 금모으기 운동을하면서 IMF를 벗었나다고 하는데 왜 발생하였고 어떻게 IMF를 벗어났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흡족한바구미271
    흡족한바구미27123.01.04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첫번째원인은 우리나라기업이 자기의 기업을키우기위해 외국의 돈을 많이 빌려쓰다가 지나친 빛을 진 원인이었습니다.

    두번째원인은 국민들이 무문별한 해외여행과과소비의 원인 이었습니다.

    세번째원인은 정부의 경제정책실패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IMF 는 1996년 무역적자가 무려 230억달러에 달하였고 외채는 1000억 달러를 뛰어넘고있는 상태에서 국내외 부채를 감축하지 않고 부정부패, 갑질, 안일한 정책 때문에 발생하였으며 김영삼 정부의 금융정책으로 기업들은 무분별한 차입, 과잉투자를 하였으며 투자로 수출을 늘려보려했지만 실패하며 동시에 동남아시아에 통화위기가 발생하여 세계 경제에 불안을 초래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지하자원이 없기때문에 원료를 수입해서 저임금 노동자들의 노력으로 제품을 만들어 수출을 통해 살아가는 국가입니다. 모든 결제 대금은 달러로 결제해야 하는데 지불할 달러가 없어서 유동성 위기를 맞게 되고 우리나라 돈으로는 결제할 수 없기 때문에 모라토리움(국가채무불이행)상황 속에서 IMF(국제통화기구)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오로지 금이었기때문에 전국적으로 대대적인 금모으기 운동을 전개하였고 전 세계가 깜짝놀랄 정도로 단시이내에 수많은 금을 모아서 부채를 갚을 수 있었고 빠른 시간안에 IMF체제를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97년 외환위기 전 한국경제는 심각한 구조적 문제가 있었지만 그것이 외환위기의 원인은 아니었습니다. 외환위기는 정부의 유동성 부족, 즉 한국 정부가 단기 외채에 비해 외화준비금을 너무 적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도한 은향 대출과 어움발행 그리고

    기업들의 무리한 확장으로 인한

    부실대출이 서서히 가계경제로 미치면서

    외국인이 빠져나가서 외환 보유고가

    바닥 나면서 시작이 되었습니다.

    사실 더 많은 이유가 있지만 대충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