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기특한고슴도치297
기특한고슴도치29723.05.07

우리나라 산림에 소나무를 많이 심거나 자라는 이유가 있을까요?

우리나라 산림에 소나무를 많이 심거나 자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옛날부터 소나무가 산림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 민족은 소나무와 늘 함께 살아왔습니다. 신앙이나 상징뿐만 아니라 그 쓰임새에 이르기까지 어느것에도 소나무가 왕따당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소나무로 기둥하고 대들보 올린 집에서 태어나고 태어난 아기를 위해 솔가지를 매단 금줄을 쳐서 나쁜 기운이 들어오는걸 막았고 소나무 장작불로 지은 밥을 해 먹었으며 그 불로 온돌을 따뜻하게 해서 살았습니다.


    송판(松板)으로 가구를 만들었으며 솔가리로 불쏘시개를 했고, 송편을 해 먹었고, 솔잎주를 담아 마셨습니다. 꽃가루로 송화주(松花酒)를 빚고, 새순을 넣고 빚은 술 송순주(松筍酒)를 즐겼습니다.


    구황이 들때는 소나무 속껍질 송기(松肌)를 벗겨 떡도 만들고 죽도 쑤어 먹기도 했습니다. 송홧가루로 다식을 만들어 먹고, 솔잎으로 차를 다려 마시기도 합니다.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복령(茯笭)은 약제로 쓰이고 송이버섯은 최고의 음식입니다. 껍질을 깐 잣을 솔잎에 꿰어 송백(松栢)을 만들어 먹기도 했습니다.


    또 소나무 껍질에 홈을 파서 송진을 모아썼으며, 소나무 뿌리를 건류(乾溜)하여 송근유(松根油)라는 기름을 만들어 불을 밝혀썼고, 소나무를 태운 그을음 송연(松烟)으로 먹(墨)을 만들어 글을 쓰고 그림을 그렸습니다.


    여승들은 소나무 겨우살이로 만든 송낙(松蘿)을 쓰고 다녔으며, 양반들은 송진이 뭉친 호박으로 마고자 단추를 해 달았고, 산림처사들은 송도(松濤)와 송운(松韻) 즉 바람결에 흔들리는 소나무의 운치 있는 맑은 소리를 즐겼으며 선비들은 소나무의 푸른 빛깔 송취 (松翠)와 소나무 그림 병풍을 펼쳐 두고 즐겼습니다.


    그리고 생을 마친뒤 소나무로 짠 관에 묻혀 자연으로 돌아감으로써 마지막 순간까지도 소나무에게 신세를 졌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