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도덕적인나방190
도덕적인나방190

화이자 1차 맞고 100일쯤 지났는데 2차 맞으면 백신패스 가능 한가요?

몸이 별로 안좋아서

2021년 9월6일에 그냥 화이자 1차 맞고

2차는 10월18일 맞는날이었고

지금까지 1차 이후

90일이 더 넘도록 안맞았는데

이거 2차 화이자 맞으면

2차 인정해서 백신패스 받을 수 있나요

집 밖에 잘 안나가서 그냥 1차만 맞고 있었는데

백신패스 때문에 어디 외식도 못가고 혼자 영화도 못보고

어휴.

1차 이후 90일 넘어서도 2차맞으면 백신패스 받을 수 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2차 접종을 늦게 맞았다고 하여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또한 백신패스 가능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신청 후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백신의 권고되는 접종 간격보다 짧은 기간 내에 재접종을 받을 경우 백신의 효과가 떨어지고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권고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권장되는 간격보다 다소 늦게 접종 받는 것은 전혀 문제될 것이 없습니다. 가능하면 권고되는 적정 기간에 맞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불가피한 경우에는 늦더라도 맞는 것이 좋겠습니다. 90일 정도면 2차 접종이 맞습니다.

      방역패스는 2차 접종 완료 후 14일이 경과한 사람에게 적용되니 2차 접종을 받으시고 14일을 기다리시면 적용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얼른 맞으시기 바라며 패스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나는 국소 이상반응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별다른 조치 없이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이는 정상적인 면역형성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39℃ 이상의 고열, 알레르기 반응(두드러기나 발진, 얼굴이나 손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이상반응의 증상이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정도라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에 대해 너무 미리 걱정하실필요 없습니다.

      백신접종에 따른 이상반응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해열제 복용을 위해 다음과 같이 권고해 드리니, 안전한 접종을 위해 국민과 의료진 여러분의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1. 백신 접종 후 발열, 통증이 있으면 해열진통제를 드시기 바랍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등) 성분의 약제가 다른 해열진통제보다 권장됩니다.

      2.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약물을 못 드실 경우 이부프로펜(부루펜 등), 아스피린 등 기타 해열진통제를 드셔도 됩니다.

      3. 백신 접종 전 미리 해열진통제를 드시는 것은 권고되지 않습니다.

      4. 약을 드셔도 39도 이상 열이 나거나 발열, 두통, 전신통증이 2~3일 이상 지속될 때에는 의사에게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백신+개인위생+사회적 거리두기 해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90일 넘어서 시행한 접종도 2차접종으로 인정이되고 6개월간 백신패스효과가 유지됩니다. 이 기간이후에는 3차접종까지 완료해야 백신패스 효과가 유지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가능합니다.

      단 2차접종 후 2주가 지난시점부터 백신패스에 적용됩니다.

      잔여백신으로 신청하셔서 2차백신 접종하시면 가능합니다.

      1차부터 새롭게 맞는것은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차 백신 접종 이후에 권장 기간내에 2차 접종을 시행하지 않더라도 1차 접종부터 다시 하는 것이 아니라 2차 접종만 시행하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저희나라는 1차접종후 시간이 지났다 하더라도 1차부터 다시 접종을 하는것이 아니라 2차부터 접종을 하기 때문에 2차를 맞으신다면 백신패스에 해당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여러차례 접종하는 백신의 경우 동일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여러 번 접종을 시행하는 백신의 경우 1차 접종만으로도 일정 비율 이상 항체가 생기지만 항체가 면역반응을 나타내기에 부족한 정도이거나 지속기간이 짧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차 혹은 그 이후의 접종은 부스터의 개념으로 항체를 보다 충분히 하고 지속기간을 길게 유지하기 위해 접종합니다. 따라서 백신접종은 예방효과와 지속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권장된 횟수와 간격을 지켜 접종하시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한 차례 접종 보다는 지연된 2차 접종을 완료하시는 것이 항체 생성 및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화이자 및 모더나 백신의 경우 1~2차 접종사이 각각 3주, 4주의 간격이 필요하며, 최대 6주 이내 접종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백신 제조사의 임상연구에서는 6주까지 2차 접종간격을 늘려 접종했을 때 유의미한 예방효과가 확인되기도 하였습니다. 백신 수급 상황 등에 따라 해외 일부 국가와 WHO에서는 최대 12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가급적 예정된 날짜에 2차 접종예약을 하시고 접종하시는 것이 권장됩니다.

      백신 패스의 경우 2차 접종완료 2주 후부터 적용되며, 권장되는 2차 접종기간이 지나더라도 접종하신다면 대상자에 포함됩니다. 부득이하게 예정일에 접종을 못받으실 경우 빠른 시간에 다시 예약하시어 접종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어차피 앞으로 3차 접종까지 진행을 해야 하고, 그 이후에 매년 접종까지도 받아야 한다면 지금이라도 2차 접종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 2차까지 어쨌든 완료가 되어야 백신 패스가 적용 되겠지요.